버들치 등 45종 물속생물 서식 확인
  • ▲ 탄천 수질이 2년 연속 '1급수' 기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탄천 수내교 지점에서 수질 측정을 하는 모습. ⓒ성남시 제공
    ▲ 탄천 수질이 2년 연속 '1급수' 기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탄천 수내교 지점에서 수질 측정을 하는 모습. ⓒ성남시 제공
    성남시를 가로지르는 탄천 수질이 2년 연속 '1급수' 기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시는 한 달에 한 번씩 탄천 오리보·구미교·돌마교·수내교·방아교 등 10개 지점의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을 측정한 결과 수질이 2023년에는 평균 1.65㎎/ℓ, 지난해는 1.58㎎/ℓ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하천수 생활환경 기준 지표가 ‘좋음’ 등급인 1급수(기준 2㎎/ℓ 이하)에 해당하는 수치다. 

    성남시는 깨끗한 수질 유지를 위해 탄천과 지천 바닥에 쌓인 퇴적물 준설작업과 하천 내 발생하는 부유물 제거작업을 지속하고, 배수 통관을 설치한 효과라고 설명했다.

    성남시가 최근 2년간 파낸 퇴적물은 7만3324㎥, 제거한 부유물은 총 15.7t에 이른다.

    이와 함께 탄천 내 15곳 교량 보수·보강공사(2024년 8월~2025년 8월) 구간에는 유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성토작업 후 배수 통관을 설치했다. 

    하천 주변 사업장(37곳)도 수시로 점검·순찰해 혹시 모를 오염원 유입을 선제적으로 차단했다.

    이 같은 노력은 수생태계 다양성으로 이어졌다. 성남시는 탄천 곳곳에서 ‘좋음’ 등급에서만 사는 버들치를 비롯한 갈겨니·모래무지·얼록동사리 등 45종의 물속생물 서식을 확인했다.

    성남시 관계자는 “탄천 수질 1급수 유지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행정력이 결합한 결과”라면서 “수질 개선사업을 지속해 탄천 환경을 깨끗하게 가꿔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