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맞춤형 행정서비스 위해 구청으로 업무 이관
  • ▲ 화성특례시청 전경ⓒ화성시 제공
    ▲ 화성특례시청 전경ⓒ화성시 제공
    화성특례시는 내년 2월 일반구 출범을 앞두고 시민 생활권 중심의 행정서비스를 본격화한다.

    화성시는 지난 15년간 시민들의 숙원이었던 권역별 맞춤형 행정 실현을 위해 체육·문화콘텐츠·환경분야 주요 사무를 시청에서 구청으로 대폭 이관한다. 이에 따라 각종 민원 서비스가 주민 생활권 내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처리될 전망이다.

    환경국은 식품·공중위생업소(2만3278곳) 인·허가를 비롯해 이미용사·조리사 면허 관리,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관리 등을 구청으로 넘긴다. 그동안 시청이나 출장소를 직접 찾아야 했던 행정 절차가 생활권 내 구청에서 가능해져 접근성과 민원 처리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예술과는 영화·게임·음악·출판 등 콘텐츠산업 관련 인·허가, 변경, 폐업 민원 권한을 구청으로 이관한다. 특히 노래연습장·비디오물감상실·인터넷게임시설제공업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업종 관련 민원이 구청에서 처리되면서 업계의 불편이 줄고 지도·감독도 강화된다.

    체육진흥과도 신고체육시설업(1481곳) 인·허가 및 안전 점검, 야외체육시설 운영·유지보수, 생활체육 프로그램 운영 권한 등을 구청에 위임한다. 시민들은 구청에서 체육시설 관련 민원과 프로그램 참여까지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구청 기능 확대는 시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생활행정 실현의 시작”이라며 “권한 이관을 넘어 시민의 삶을 바꾸는 행정 혁신으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