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담률 13.0%… 서울·인천 30% 의 절반도 안돼"'친환경 무상급식에 후퇴가 없다'에 책임·의무 다해야"
-
- ▲ 이애형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위원장.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 이애형 교육행정위원회 위원장(국힘·수원10)이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향해 경기도의 학교급식 분담률 상향을 촉구했다.현재 경기도의 분담률은 13% 내외인데, 이를 30% 내외를 책임지고 있는 서울과 인천 수준으로 끌어 올리라는 것이다.이 위원장은 5일 "학교급식이 고등학교까지 확대되고, 급식 운영에 필요한 경비 중 인건비 전부를 교육청이 부담하게 되면서, 올해 기준 도교육청의 급식 예산규모는 1조800억 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이 위원장은 이날 경기도의회에서 열린 제386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내년 예산은 1조2000억 원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어 이제 학교 운영비보다 급식비 지원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구조적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이어 "무상급식 초기에는 시·군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현재는 각 지자체가 부담을 줄이고자 하고 있어 교육청의 짐은 더욱 무거워지고 있다"고 강조했다.2025년 기준 경기도내 학교급식 분담률은 경기도교육청이 58.8%, 경기도가 13.0%이며 일선 시·군은 28.2%로 적용되고 있다.그는 "물가상승으로 급식경비 소요액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시·군도 재정난으로 점차 부담을 줄이려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동연 지사는 13% 내외의 분담비율을 고수해 왔다"면서 "서울과 인천은 광역단체가 30%를 분담하며 책임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이 위원장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경영개선 △학교급식경비 분담액의 현실화 △보조금 지원 확대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이 위원장은 "지사가 적어도 친환경 무상급식에 후퇴가 없다고 말하려면 그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경기도가 책임있는 역할을 다할 때, 친환경 농산물의 활성화와 아이들의 건강한 미래가 함께 보장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