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비 1조1825억(3.1%) 증가
-
- ▲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가 3일 경기도청에서 2026년도 경기도 본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의 내년도 예산이 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경기 회복과 민생 회복을 위한 과감하고 전략적인 재정 운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3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6년 일반회계 35조5725억 원, 특별회계 4조3321억 원 등 총 39조9046억 원 규모의 본예산안에 대해 설명했다.2025년 대비 1조1825억 원 증가한 규모다.세입의 경우 국고보조금(16조4448억 원) 등이 다소 증가하지만, 지방세(16조633억 원)가 줄면서 전체적으로는 422억 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경기도는 내년도 예산 편성을 위해 5437억 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할 계획이다.경기도의 내년도 예산은 △민생경제 △미래성장 △돌봄·안전 △지역개발과 균형발전 등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편성했다.민생경제 관련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1194억 원 규모의 지원 예산을 투입하고 소비 촉진을 위해 전통시장 현대화, 특례보증 손실보전, 영세 소상공인 지원, '힘내GO카드' '경기 살리기 통 큰 세일' '농수산물 할인 쿠폰' 등을 마련했다.시내·광역버스 공공관리제, THE 경기패스,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어르신 교통비 지원 등에도 7706억 원을 투입한다.미래성장분야에는 1382억 원을 투입해 반도체·인공지능(AI)·로봇·기후테크 등 첨단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생태계를 조성한다.또한 대·중소기업 상생형 주 4.5일제와 공공의료 혁신, 생활 속 AI 활용, 디지털 지역경제 기반 조성 등도 이어진다.돌봄과 안전은 돌봄의 공백을 줄이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생활안전망 구축에 총 1조3927억 원을 투자한다.재해예방사업 952억 원, 풍수해·지진보험 7억 원, 지방하천 정비 2649억 원 등 3624억 원은 안전 기반 구축에 반영했다.지역개발과 균형발전에서는 광역철도, 국지도 확포장, 도시숲·도서관·주차장 등 생활 SOC 확충을 포함한 지역개발사업에 6560억 원을 투자한다.김 부지사는 "2026년 경기도 예산은 도민의 삶을 바꾸는 실행의 약속이며, 경기도의 미래를 설계하는 실천의 지도"라며 "경기도는 변화의 흐름 속에서 멈추지 않겠다. 사람과 기술, 산업과 지역이 함께 나아가는 '미래로 가는 경기도', 그 길의 중심에 서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