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없는 행정' 등 ESG 경영 선도디지털 전광판 도입, 폐현수막 감소텀블러 세척기 7곳 설치 500만원 절감
  •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직원들이 텀블러를 들고 일회용품 제로화에 동참, ESG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공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직원들이 텀블러를 들고 일회용품 제로화에 동참, ESG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공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은 올 초부터 시행한 종이 없는 행정과 일회용품 제로화로 1분기에 약 3000만 원의 예산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경과원은 탄소중립을 위한 '경기 RE100'에 발맞춰 올해부터 종이 없는 회계 행정, 디지털 전광판 도입(고효율 LED), 일회용품 제로화 등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통해 매년 1억2000만 원의 예산 절감이 기대된다.

    오는 7월부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모바일로 업무 처리가 가능한 정보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입해 전 직원의 디지털 회의 기반 구축이 완성될 예정이다.

    경과원은 종이 없는 회계 행정을 통해 회계 처리를 전자적으로 검증·완료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편해 지난 1월부터 도 공공기관 최초로 종이서류 일체를 출력하지 않고 전자로 생산 및 보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출납 및 회계 처리 행정 소요일이 2022년 대비 6.4일에서 3.5일로 감소했고, 종이 사용량은 63% 감소하는 등 1분기에 인쇄비(종이포함) 약 2500만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경과원은 또한 현수막 없는 클린 건물도 구현하고 있다.

    경과원은 지난해부터 광교·판교 등 7개 건물에 디지털 전광판 9개를 신규 도입해 5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를 통해 건물을 방문하는 고객 편의 증진과 시인성 향상,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친환경 경영 효과도 높이고 있다.

    7개 건물 대관시설에서 연간 800여 건의 행사에 사용되는 현수막을 디지털 전광판으로 대체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경과원은 이로 인해 한 해 설치되는 대관시설 이용자의 현수막 경비를 연간 8000만 원 이상 절감하고 일회성 사용으로 발생하는 폐현수막 감소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경과원은 또 올해부터 시행하는 건물 내 일회용 컵, 일회용기 등 일회용품 사용 제로화로 1분기에만 약 500만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경과원은 자발적 동참을 통한 실천을 유도하고 직원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광교·판교 건물 내 7곳에 텀블러 세척기를 설치해 일회용품 사용 근절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강성천 경과원장은 "ESG 경영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기관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필수 요건"이라며 "종이 없는 행정, 디지털 전광판 도입 등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ESG 경영을 추진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