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 정책 발표회서 ‘화성형 기본사회’ 우수 사례 소개
-
- ▲ 정명근 화성시장이 14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지방정부 정책 발표회에서 ‘화성형 기본사회’ 우수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화성시 제공
정명근 화성시장이 지방정부 정책 발표회에서 ‘화성형 기본사회’ 우수 사례를 소개했다.정 시장은 지난 14일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지방정부 정책 발표회에 참석해 △전국 1위 지역화폐 발행 △농업인 월급제, 농어민 기본소득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 지원 △청년 및 중소기업 근로자 주거 지원 △기본교통비 지원 정책 등 ‘화성형 기본사회’ 우수 사례를 발표했다.이번 정책 발표회는 기본사회 주요 정책 사례 발표를 통한 기본사회정책의 성과 확산을 위해 마련됐다.주요 발표 대상은 기본사회 정책 중 실제 현장 적용이 유효한 △기본금융 △기본주거 △기본교통 △기본의료 △기본에너지 등 5개 분야에서 지방정부의 구체적 성과 및 분석이었다.정 시장은 “어제의 지도로 오늘의 길을 찾을 수는 없다. 우리는 내일의 지도를 그린다”며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 환경과 기후위기 등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소득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이어 정 시장은 기본에너지 중기 계획과 관련해 “화성시 관내 수천만 평의 유휴부지 활용,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통해 모든 화성시민께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등 지속 가능한 기본사회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화성시는 최근 5년 인구증가율 1위 도시로 2023년 인구 100만 명을 달성해 2025년 1월 특례시 출범을 앞두고 있으며, 그 외에도 출생아 수 전국 1위, 기초자치단체 지역내총생산(GRDP) 전국 1위 등 인구 소멸 상황에서도 높은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