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미군 반환 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추진 TF' 발족김동연 경기지사 "판 바꾸는 계기 만들어야" 강조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5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경기도 현안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5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경기도 현안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초대형 프로젝트인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 개발'에 시동을 걸었다.

    경기북부에 주로 밀집한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 개발은 이재명 대통령이 관심을 갖고 직접 챙기는 사안으로 지난 대통령선거 당시 이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기도 하다.

    전국의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 중 개발 가능한 구역은 경기도에만 22곳 약 72.4㎢(2193만 평)로 여의도 면적(2.9㎢, 87만 평)의 25배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청에서 열린 현안대책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 경기북부 발전에 힘을 쏟아온 경기도로서는 정말 좋은 기회"라면서 주도성·전향성·지역중심 등 3가지 원칙을 당부했다.

    김 지사는 "국가가 할 일, 경기도가 할 일을 구분하기보다 경기도가 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달라"며 "규제 해제 또는 완화, 별도로 군 유휴지별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 발전 방향 등에서 주도성을 가져 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김 지사는 "완전히 판을 바꾸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며 지지부진했던 주한미군 반환 공여구역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경기도는 8월 중 김대순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경기도 반환 공여지 개발 TF'를 공식 발족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TF를 중심으로 앞으로 자체 개발 방안 마련, 국방부와 협력, 국회와 특별입법 등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김 지사는 "2부지사를 중심으로 반환공여구역이 있는 의정부·파주·동두천·하남·화성 등 5개 시와 함께 힘을 모아 달라"며 "앞으로는 전향적으로, 예컨대 경기연구원에서 의정부·동두천 등 지역별로 특화된 개발 방안을 만들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