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단간 인공지능(End-to-End AI) 기반
-
-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 지난 4일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서 관계 기관과 함께 '경기도 자율주행분야 공동 R&D'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제공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국내 최초 '종단간 인공지능(End-to-End AI)' 기반의 레벨4 자율주행기술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융기원 미래모빌리티센터는 지난 4일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서 '경기도 자율주행분야 공동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차세대 자율주행기술 개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착수보고회에는 경기도 첨단모빌리티산업과, 융기원 미래모빌리티센터,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인 서울대학교, 공동연구기관인 ㈜에스유엠·시티아이랩, 가천대학교 소속 연구 책임자 등 주요 연구진이 참석해 사업 추진 방향과 세부 실행계획을 공유했다.해당 과제는 판교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에서 수집한 실주행 데이터를 학습해 기존의 절차 기반(rule-based) 자율주행기술을 넘어서는 종단간(End-to-End) 학습 기반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으로, 2028년까지 3년간 추진되며, 실증 중심의 단계적 연구개발이 이뤄질 예정이다.종단간 AI 자율주행기술은 센서 입력부터 차량 제어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하나의 통합된 모델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기존 방식 대비 유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이번 R&D 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은 경기도 자율주행버스 '판타G버스'에 적용돼 자율주행 레벨4(고도자동화) 수준의 서비스로 업그레이드 될 예정이다.업그레이드 된 소프트웨어는 판교 제2테크노밸리 구간에서의 시연 및 검증을 거쳐 실운행에 적용되며, AI 모델과 학습 데이터 셋은 단계적으로 공개돼 관련 산업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김연상 융기장은 "이번 R&D 사업을 통해 국내 최초로 End-to-End AI 기반 자율주행기술을 개발하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자율주행 핵심 기술의 국산화 및 고도화에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판교 시범운행지구 실증을 통해 차세대 기술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