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부속 행사로 우호교류합의서 교환, 반도체·환경분야 협력 확대
-
- ▲ 한-베트남 정상회담 부속행사로 진행된 평택시와 다낭시 간 ‘우호교류합의서 교환식’ⓒ평택시 제공
한-베트남 정상회담이 열린 11일, 한국과 베트남 양국 주요 경제 거점인 평택시와 다낭시가 ‘우호교류합의서 교환식’을 통해 협력관계를 한층 강화했다.정장선 평택시장과 응우옌 반 꽝 다낭시 당서기는 이재명 대통령과 또 럼 베트남 서기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합의서를 공식 교환했다.이번 행사는 다낭시가 지난 7월 중앙직할시로 승격됨에 따라 기존 4월 체결된 협약을 재확인하고 확대하는 자리였다.정상회담 부대행사로 지방정부 간 교류행사가 열린 것은 드문 사례다. 이는 양국 정부가 지방정부 차원의 실질적 협력 필요성을 적극 인정했다 점에서 주목되며, 한-베트남 외교 네트워크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계기로 기대감이 높다.이번 합의서에는 기존 경제·교육·문화·체육분야 협력에 더해 미래산업과 환경분야 협력까지 포함됐다. 특히 자유무역지대 개발 지원과 촉진, 반도체·인공지능 등 첨단산업분야 협력 강화에 관한 구체적 내용도 담겼다.양 도시는 이번 교환식을 발판 삼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질적 사업들을 신속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교환식 전날인 10일 서울에서 가진 간담회에서는 반도체 및 자유무역지구분야 전문가 파견, 정례 교류회 개최, 탄소중립 등 환경분야 협력 확대 등이 논의됐다.정장선 평택시장은 “베트남의 성장 가능성과 양국 상생분야가 많아 평택시는 다낭시·땀끼시 등 주요 도시와 신뢰를 쌓아왔다”며 “국가 정상급 외교무대에서 지방정부 교류행사가 열린 것 자체가 협력 의지의 증거인 만큼 평택시는 다낭시와 함께 지방정부 간 모범적인 협력 사례를 만들 것”이라고 다짐했다.한편, 다낭시는 지난 7월1일 행정 개편으로 꽝남성과 통합돼 중앙직할시로 승격됐다. 면적은 기존 대비 약 10배 증가한 1만1860㎢로 경기도(1만200㎢)보다 넓으며, 인구도 127만 명에서 300만 명으로 대폭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