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R&D 인프라 부족 해소, 국가 연구 인프라 활용 지원
-
- ▲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좌)과 박노재 한국나노기술원장(우)이 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화성시 제공
화성특례시가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연 국가연구기관인 한국나노기술원(KANC)과 ‘첨단반도체산업 육성·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날 한국나노기술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이재영 한국나노기술원 이사장, 박노재 원장 직무대행, 안상교 화성상공회의소 회장, 전병선 화성산업진흥원장, 관내 반도체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은 시가 지난 6월 개최한 ‘화성시 반도체 주요기업 간담회’에서 제기된 ‘기술·연구개발(R&D) 인프라 부족 및 장비 이용 애로’ 해소를 위한 후속 조치다.협약에 따라 화성시와 한국나노기술원은 △화성시 반도체산업 육성 △연구 인프라 공동 활용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한 정보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한다. 이를 통해 관내 기업이 국가 연구기관의 실증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장비 확보 부담을 줄일 방침이다.박노재 원장 직무대행은 “화성특례시는 반도체 제조와 장비 관련 기업이 밀집한 수도권 산업의 중심지”라며 “한국나노기술원의 인프라와 실증 역량이 결합되면 지역 소부장 기업의 글로벌 진출과 기술 자립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정명근 시장은 “반도체 중심도시로 도약 중인 화성시가 기술혁신의 중추기관과 협약을 맺게 돼 뜻깊다”며 “지역 기업과 인재가 국가 첨단기술 생태계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화성시는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다양한 반도체기업 지원 정책을 발굴해 관내 반도체산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