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와 발맞춘 민생지원정책각종 지원으로 지역상권 경쟁력 강화
-
- ▲ 홍명희 광명시 경제문화국장이 12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명시 민생경제 및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을 주제로 브리핑을 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광명시는 민생 안정과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체감도 높은 실질적 경제 회복정책을 추진한다.광명시는 12일 오전 시청에서 ‘광명시 민생경제 및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을 주제로 정책 브리핑을 열고, 민생안정지원금부터 지역상권 성장 지원까지 광명형 민생경제 회복정책을 설명했다.올해 광명형 대표 민생정책으로는 지난 1월 전 시민에게 광명사랑화폐(지역화폐) 10만 원씩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을 꼽을 수 있다.민생안정지원금은 올 초 정국 불안과 경기 침체로 위축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광명시가 자체적으로 시행한 민생정책으로, 올 초 경기도 시·군 중 광명시와 파주시 단 두 곳만 지급했다.민생안정지원금은 지난 1월9일부터 3월31일까지 약 26만 명이 신청해 광명시 전체 인구의 93.4%가 받았으며, 지급액 중 약 98.9%가 사용되며 민생 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이후 국민주권정부가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결정하자 광명시는 민생안정지원금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정책 전담팀 구성, 전담 콜센터 운영 등 신속한 지급체계를 마련했다.그 결과 ‘경기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일일상황보고(8월10일 오후 6시 기준)’에 따르면, 지급 대상 28만1674명 중 27만1566명이 지급받으며 약 96.4%의 지급률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이와 함께 광명시는 지역상권 회복과 경쟁력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광명시는 2019년 ‘광명시 소상공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지역상권을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정책 기반을 마련했고, 2020년에는 경기도 최초로 ‘광명시자영업지원센터’를 설립해 체계적인 소상공인 지원체계를 갖췄다.이후 자영업지원센터는 소상공인들이 뭉쳐 축제, 거리 개선, 정보 교류 등이 가능한 골목상권상인회를 조직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현재 20개 상인회가 활동하고 있다.또한 2021년부터는 광명시 자체적으로 골목상권공동체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2020년 1억5000만 원이던 지원 예산을 올해는 10억1000만 원까지 확대했다.이 과정에서 2023년 ‘골목상권상인회총연합회’, 2024년 ‘소상공인연합회’가 출범하며 상권공동체의 결속력이 한층 높아지고, 상권 활성화의 기반도 탄탄해졌다.아울러 광명시는 점포 환경과 시스템을 개선하는 ‘경영환경 개선’사업, 홍보·마케팅과 경영 전반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경영 컨설팅 지원’사업, 재기를 돕는 ‘노란우산공제’ 공제부금 지원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광명시는 더 나아가 광명형 통합 온라인 플랫폼인 ‘광명상생플랫폼’을 구축해 디지털 환경과 유통 구조의 급변 속에서 소상공인이 온라인 시장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홍명희 광명시 경제문화국장은 “장기적 경기 침체, 정국 불안 등 지속되는 경제위기 속에 경제적 약자인 소상공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소상공인이 안정적으로 경영하고 사람이 머무르며 상권이 살아나는 지속 가능한 민생경제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