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2000명 대상 여론조사, 10명 중 7명은 경기도 선도정책 지지
-
- ▲ 경기도청 전경ⓒ경기도 제공
경기도민 대부분은 기후위기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경기도가 지난 8월7일부터 11일까지 18세 이상 경기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9%가 기후위기를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이 가운데 56%는 ‘매우 심각하다’고 답해 도민들의 높은 위기의식을 드러냈다.또한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 대응 필요성에 대해서는 90%가 공감했으며 이 중 65%는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해 정책적 요구가 강하게 나타났다.경기도가 최근 3년간 추진해온 기후정책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었다. 도민의 57%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부정평가는 30%에 그쳤다. 경기도는 기후위기를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닌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경제문제이자 성장전략으로 규정하고 ‘기후경제’ 관점에서 정책을 펼치고 있다.정책별 공감도 조사에서는 ‘기후행동 기회소득’이 80%로 가장 높은 지지를 얻었다. 이어 △경기RE100(78%) △기후보험(74%) △기후펀드(72%) 기후위성(67%) 순으로 모든 정책이 70% 안팎의 공감대를 형성했다.전국으로 확산을 희망하는 정책으로는 경기RE100(26%)이 가장 높았으며, 기후행동 기회소득(21%), 기후보험(14%), 기후펀드(12%), 기후위성(9%) 등이 뒤를 이었다.도민 절반인 50%는 경기도 기후정책이 중앙정부나 다른 지자체와 차별성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39%였다.앞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최근 청정대기 국제 포럼에서 “경기도는 공공부문 RE100, 기후행동 기회소득, 기후보험 등 전국 최초의 기후정책을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기후위성·기후펀드 등 선도정책의 경험과 데이터를 중앙정부 및 국제사회와 공유하며 세계 기후행동을 이끌겠다”고 밝힌 바 있다.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도민들의 높은 위기의식과 정책적 요구를 확인했다”며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추진해 온 정책들이 중앙정부 기후정책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