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상장기업 7년간 변화 분석경기도 상장기업 33.9% 증가
  •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19일 발간한 '경기도 산업, 어디로 흘러가나: 도내 상장기업의 2018년 이후 변화와 재편의 방향' 보고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공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19일 발간한 '경기도 산업, 어디로 흘러가나: 도내 상장기업의 2018년 이후 변화와 재편의 방향' 보고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공
    경기도의 산업이 반도체 중심 단일 구조에서 바이오·자동차·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한 다극체제로 빠르게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19일 '경기도 산업, 어디로 흘러가나: 도내 상장기업의 2018년 이후 변화와 재편 방향'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2018년과 2025년 양 시점의 도내 코스피·코스닥 상장기업을 조사해 경기산업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상장기업 수는 576개에서 771개로 33.9% 늘었으며, 총매출액은 375조6000억 원에서 504조3000억 원으로 34.3%, 자산은 498조5000억 원에서 890조9000억 원으로 78.7%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73조2000억 원에서 47조 원으로 35.8% 감소했는데, 이는 전체 상장사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산업의 영업이익이 특히 호황이었던 2018년에 비해 47.0%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바이오·자동차·소프트웨어 등 ‘차세대 트로이카’ 산업의 성장세에 주목했다.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매출은 128.7%, 영업이익은 158.6% 증가했고, 자동차 및 부품산업의 영업이익은 231.5% 급증했다.

    소프트웨어산업도 매출 128.8%, 영업이익 47.8% 증가를 기록하며 산업 다각화에 기여했다.

    전체 상장기업에서 제조업 비중이 73.6%에서 72.2%로 소폭 감소한 반면, 정보통신업은 6.9%에서 9.1%로,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3.3%에서 5.6%로 증가하는 등 제조업에서 지식 기반 서비스업으로의 재편 흐름도 포착됐다.

    기업규모별 분석에서는 중견기업이 매출 37.5%, 영업이익 14.0%, 당기순이익 41.2%으로 모두 증가하며 산업의 허리 역할을 강화했다.

    반면 중소기업 수와 고용은 각각 54.1%와 55.8% 늘었지만 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하는 등 경영난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경기도 산업 발전을 위해 △차세대 트로이카 산업 집중 육성 △기업규모별 성장 사다리 복원 △주력산업 고도화와 위기산업 연계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경과원은 앞으로도 경기도 산업구조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신산업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정책 대안을 제시해 나갈 계획이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이번 분석은 경기도 산업이 반도체뿐 아니라 바이오·자동차·소프트웨어라는 새로운 성장 엔진을 장착해야 하는 변곡점에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질적 성장과 신산업으로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맞춤형 정책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