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염태영 국회의원. ⓒ염태영의원실 제공
염태영 의원(민주·수원무)이 정부가 추진 중인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경기국제공항이 담겨야 한다는 의견을 재차 강조했다. "경기국제공항은 단순한 공항이 아니라 K-반도체 메가클러스터 등 핵심 물류 거점형 공항"이라는 것이다.염 의원은 20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청에 대한 국정감사에 참석해 "인천국제공항이 동북아시아 허브 공항이라고 하면 경기국제공항은 실수요자, 지역산업맞춤형 공항"이라며 이같이 밝혔다.염 의원은 이어 "수도권의 항공 수요를 대체하기 위한 공항으로 경기도가 경기국제공항을 계속 제안하고 있다"며 "이미 2024년에 끝난 연구용역을 통해 B/C값이 1.0에서 1.3이 나온 후보지 3곳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현재 경기도는 경기국제공항 후보지로 평택시 서산면과 화성시 화성호 간척지, 이천시 모가면을 선정해 2차 연구용역 중이다.염 의원은 "인천국제공항이 지난해 4단계 확장 공사가 끝났는데 5단계 확장해도 2033년 또다시 포화가 예상된다"며 "신규 공항 개항까지 15~20년이 걸린다. 최소 15년 감안해도 내년에는 신규 공항이 확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염 의원은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향해 경기국제공항의 정부 정책 포함을 위한 노력을 당부했다.염 의원은 "지사님이 취임 이후 경기국제공항을 핵심 공약으로 하셨는데, 공항은 단순한 시설이 아니라 국가 산업, 지역 물류의 핵심"이라며 "지사님께서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경기국제공항이 담길 수 있도록 정책 의지를 가지셔야 한다"고 촉구했다.이에 김 지사는 "저의 입장은 의원님과 100% 같이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