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지진 대비 사업도 조기 완수내진 보강, 학교 건물 안전성 확보"안전한 학교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
  • ▲ 경기도교육청 시설과와 학교안전과 관계자들이 13일 도교육청에서 언론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 경기도교육청 시설과와 학교안전과 관계자들이 13일 도교육청에서 언론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이 오는 2026년까지 학교 석면 제거를 완료한다. 학교 시설의 샌드위치 패널과 내진 시설도 연차적으로 보완해 더욱 안전한 학교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석면·화재·지진 등으로부터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석면 제거사업 △샌드위치 패널 개선사업 △내진 보강사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석면 제거사업에 1365억 원(199개교), 샌드위치 패널 개선사업에 76억 원(53개교), 내진 보강사업에 114억 원(27개교)을 투입해 연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석면 제거사업은 학교 석면모니터단 교육이 부실하다는 지적에 따라 교육지원청에서 실시하던 해당 교육을 본청에서 주관하는 권역별 교육으로 개선한다.

    교육지원청 석면 업무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 맞춤형 전문 교육도 실시한다.

    석면 관련 민원을 최소화하고 석면 제거 대상 학교의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관계 법령 또는 지침 위반 사례가 적발되면 고발 등 행정조치할 예정이다.

    현재 경기도교육청의 학교 석면 제거율은 70%다.

    올해 사업이 완료되면 80%로 높아지며, 2026년까지는 연차적으로 석면 제거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샌드위치 패널 개선사업은 교육시설 화재 안전종합대책의 하나로, 화재에 취약한 건물 마감재를 불연 성능 이상의 마감재로 개선해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 사업이다.

    애초 2031년 완료 예정이었으나 조기 개선을 위해 2025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학교 시설 내진 보강사업은 2017년 포항지진 이후 학교 건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2009년 이전에 지어져 내진 설계가 미적용된 학교 내 교사·체육관·기숙사·급식시설·강당 용도의 건축물과 2층 또는 200㎡ 이상의 일반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다.

    경기교육청은 오는 2029년까지 내진 보강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관리 대상 시설물의 내진 설계 반영 비율은 64%다.

    김귀태 경기교육청 시설과장은 "안전한 석면 제거를 최우선에 두고 석면으로부터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영환 경기교육청 학교안전과장은 "샌드위치 패널 개선사업과 내진 보강사업을 매년 지속해서 추진해 학교 시설 안전 강화를 위한 사업이 조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