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협약과 구성으로 재가동하면서 협력관계에 전환점 마련
-
- ▲ (왼쪽부터)최종현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백종현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이 13일 도담소에서 '여야정협치위원회 공동 협약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와 경기도 간 멈췄던 협력 채널이 재가동한다.김진경 경기도의회의장(민주·시흥3)과 김동연 경기도지사, 최종현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수원7), 백종현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구리1)은 13일 도담소에서 '여야정협치위원회 공동 협약식'을 갖고 새로운 출범을 알렸다.여야정협치위원회는 2023년 제2기 위원회가 꾸려진 후 지난해 초까지 협치 과제 마련 등의 실무 논의가 일부 진행됐지만, 실질적 진전은 이루지 못했다.하지만 이번에 새로운 협약과 구성으로 재가동하면서 경기도의회와 경기도 간 협력관계에 다시 한번 전환점을 마련하게 됐다.경기도의회의장과 경기도지사, 양당 대표의원, 경기도 경제부지사 등 총 14명(의회 9명, 도 5명)으로 구성된 여야정협치위원회는 앞으로 도정 주요 쟁점, 경기도의회의 정책·전략사업, 주요 조례안·예산안 등에 대한 두 기관의 사전 협의 및 조율의 구심점이 된다.경기도의회 양당 대표의원과 경기도 경제부지사 등 3인이 공동의장을 맡고, 분기별 1회 정례 회의(연 4회), 매월 1회 실무회의(필요 시 수시 개최)를 열어 현안을 논의하게 된다.또한 실무 차원의 '여야정 실무회의'를 운영해 합의사항의 실행 여부 점검, 정례회·임시회 안건 사전 논의 등의 세부 협의를 진행한다.특히 목적에 따라 여야정협치위원회 산하에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도록 하면서 그동안 김 의장이 필요성을 제시해온 '재정전략회의(가칭)'도 향후 설치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재정전략회의는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가 경기도의 재정 운영 방향을 함께 논의하는 형태의 기구로, 김 의장의 후반기 핵심 공약이다.김 의장은 "오랫동안 기다려온 소통의 테이블이 마련된 만큼 이제 중요한 것은 실천"이라며 "민생의 무게를 함께 짊어지고 도민을 위한 정책을 함께 책임지는 진짜 '일하는 여야정협치위원회'로 자리 잡기 바란다"고 기대했다.김 지사는 "한 배를 타고 함께 건넌다는 '동주공제' 뜻처럼 어떤 어려움이나 힘든 일이라도 함께 손잡으면 극복할 수 있다"며 "경기도 발전과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가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