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광명시장, "전략적 탄소중립 정책 추진"
-
- ▲ 지난 3월 2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제1회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진행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광명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심의하고 최종 확정했다. ⓒ광명시 제공
광명시는 2050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완성했다.광명시는 2023년 8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1년4개월간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한국환경공단의 컨설팅과 지난 3월28일 제1회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본계획을 최종 수립했다.이에 따라 광명시는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134만t의 40%에 해당하는 44만t을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 대책 106개와 기후 위기 대응 기반 강화 대책 44개 등 총 150개 세부 이행과제가 담긴 기본계획을 충실히 이행할 방침이다.기본계획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대책으로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대 및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 △전기차·수소차 보급 지원 등 친환경 교통 수단으로 전환 △스마트팜 등 도심 속 친환경 영농환경 조성 △폐기물 발생 원천 감량 △정원 조성 등 다양한 공간의 탄소 흡수원 확충 등의 5개 부문에서 106개 이행과제를 도출했다.아울러 기후위기 대응 기반 강화를 위해 △기후위기 적응력 강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공유재산의 기후위기 대응 △국내외 지자체 간 협력 △탄소중립 교육·소통 등 8개 부문 44개 이행과제를 포함했다.광명시는 기본계획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각 과제를 온실가스 저감량 등 정량적 수치로 관리할 계획이다. 명확한 수치로 목표 달성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해 정책의 효과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는 2018년부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기후에너지과 신설, 탄소중립센터 설립 등 체계적 기반을 마련하고 민관 협력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양적·질적으로 성장시켜 왔다”며 “이번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