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가 10일(현지시간)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를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미국 출장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현지 완성차 3사(GM·포드·스텔란티스)가 자리잡은 미시간주와 자동차부품 관세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로 하면서다.김 지사는 10일(현지시간)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를 만나 자동차부품 관세 공동 대응을 위한 4개항에 합의하고, 신속한 실무 협상을 통해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우선 경기도와 미시간주는 '자동차산업 상생을 위한 협의체'를 구축한다.경기도와 미시간주의 협의체 구축은 트럼프정부의 관세에 대응하는 한미 지방정부 간 최초의 전략적 연대 기구다.이를 톨해 양국 자동차기업 상생을 위한 정보 공유, 기업 애로사항의 실시간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김 지사는 이를 두고 "(양국 기업 간) 정보 교환이 대단히 중요하다"면서 중재를 요청하자 휘트머 주지사는 "정보 교환의 통로를 만드는 데 역할을 하고 싶다"며 적극 호응했다. -
- ▲ 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가 10일(현지시간)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 등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이어 한국 부품기업과 미시간주 소재 완성차 3사 간 대화 채널 개설이다.이는 지난 3월31일 진행된 평택항 간담회에서 나온 국내 부품업체 관계자들이 도움을 요청한 부분으로, 김 지사가 이 문제를 거론하면서 중재를 요청하자 휘트머 주지사는 공감의 뜻을 표했다.또한 △미시간주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부품기업 등에 인센티브 확대 △올해 경기도 주최 ‘미래모빌리티테크쇼’(미시간주 개최 예정)에 미 완성차기업 참여 등이다.휘트머 주지사는 "관세는 (예리한 도구가 아닌) 뭉툭한 도구"라며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고, 오히려 중요한 동맹 관계가 위기에 처하게 된다"고 강조했다.휘트먼 주지사는 그러면서 "(김 지사가) 네 가지 포인트를 명확히 짚어주셨다. 정보 교환과 플랫폼이 너무 중요함을 잘 알고 있다. 우리 둘의 의견이 일치한다"고 화답했다.이에 김 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는 세계경제에 대한 자해 행위"라며 "미국경제에도 관세가 초래할 물가 상승과 실직 등으로 인해 절대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다.김 지사는 이어 한국기업의 애로 사항을 전달하면서 4개항과 별도로 "경기도의 자체적인 기업 지원 계획을 조만간 편성할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