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서 민생경제 현장투어… 북수원테크노밸리 마스터플랜 현장설명회
-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2일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열린 '경기북수원 테크노밸리 마스터플랜 현장설명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2일 북수원테크노밸리를 "인공지능(AI)이 열어가는 자족형 15분도시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밝혔다.김 지사는 이날 오전 수원 장안구 파장동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경기북수원테크노밸리 마스터플랜 현장설명회'를 열었다.이 자리에는 김승원 국회의원(민주·수원갑)과 남경순·박옥분 경기도의회도의원, AI·반도체·바이오 분야 기업 관계자 및 돌봄의료 전문가, 지역주민 등 60여 명이 함께했다.김 지사는 설명회에서 "지난해 3월 북수원테크노밸리 계획을 발표했는데 오늘 마스터플랜을 주민 여러분께 보고드리고 내년 상반기에 착공하겠다는 말씀을 드리게 돼서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곳은 교통의 요지가 될 것이다. 영동고속도로부터 전철과 각종 도로가 관통하는 사통팔달의 교통 요지가 기본으로 깔리고, 그 위에 삶터·일터·쉼터가 같이 들어오게 된다. 15분 이내 거리에 주거지·직장, 그리고 여가시설을 갖춘 복합단지가 될 것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통합돌봄시스템을 도입해 전국적으로도 모범적인 최초의 단지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김 지사는 이어 "판교1·2테크노밸리는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이 부족하다 보니 저녁에는 공동화하는 점이 있어 판교3테크노밸리는 직·주·락, 직장과 거주지와 놀이공간이 함께하는 곳으로 진행했다. 이곳은 한 걸음 더 나아가 통합돌봄까지 하게 된다. 저도 와서 살고 싶을 정도"라며 "내년에 착공해서 계획대로 잘 진행하겠다. 내부적으로 더 빨리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찾아보겠다"고 강조했다.설명회에서는 지난해 3월 발표한 북수원테크노밸리 개발 구상을 구체화한 마스터플랜과 돌봄의료원스톱센터 설치 기본구상이 발표됐다.북수원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시행하며, 2026년 5월 착공해 2029년 말 준공할 계획이다.면적은 14만1000㎡로 사업비 규모는 2조8000억 원이다. -
- ▲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승원 국회의원, 남경순·박옥분 도의원 등 관계자들이 12일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열린 '경기북수원 테크노밸리 마스터플랜 현장설명회'에 참석해 기녑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북수원테크노밸리 예정 부지에는 현재 경기도인재개발원·경기연구원·기록관 등이 입주해 있다.경기도는 이 중 7% 정도는 존치해 경기도인재개발원 기능은 유지하되 나머지는 GH에 현물출자해 사업을 시행한다.경기도는 이곳을 일자리·주거·여가를 한 곳에서 해결하는 ‘경기기회타운’으로 조성할 방침이다.북수원테크노밸리가 표방하는 'AI가 열어가는 자족형 15분도시'란 15분 안에 집에서 일자리, 여가시설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한 도시 모델을 말한다.여기에 미래형 환승센터와 같이 AI 기술을 접목하고 테크노밸리 입주 AI 기업의 기술을 단지에 접목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경기도는 마스터플랜 개발 콘셉트를 '이노링크시티(INNO-LINK CITY)'로 정했다.'이노링크시티'란 '혁신(INNOVATION)'과 '연결(LINK)'을 결합한 단어로, 일터·삶터·쉼터를 유기적으로 연결, 융합해 혁신의 공간을 만드는 것을 기본 개발 방향으로 설정했다.이를 위해 AI에 기반을 둔 IT 기업과 반도체·모빌리티·바이오헬스케어 연구소 등 미래산업을 유치해 과천·인덕원테크노밸리~북수원테크노밸리~광교테크노밸리~용인테크노밸리~판교테크노밸리를 연결하는 국내 최고의 AI 지식산업벨트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또 기숙사 500호, 분양주택 1816가구를 공급하고 연면적 7만㎡ 규모의 상업·문화·스포츠·여가·복지공간도 제공한다.특히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방문의료·재활치료, 단기입원, 주야간보호 등의 시설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경기도형 돌봄의료 원스톱 서비스도 도입된다.인덕원~동탄선 북수원역과 연계된 환승 플랫폼을 구축해 교통 편의를 제공하고, 제로에너지 건축물 등을 통해 주거와 생활 자체로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RE100 탄소중립타운으로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