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강원 합동… 정책동향 등 방향성 모색
  • ▲ 경기도농수산진흥원과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가 지난 11일 강원도 인제군 스피디움 호텔에서 개최한 '2025년 접경지역 농촌공간정책 워크숍'. ⓒ경기도농수산진흥원 제공
    ▲ 경기도농수산진흥원과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가 지난 11일 강원도 인제군 스피디움 호텔에서 개최한 '2025년 접경지역 농촌공간정책 워크숍'. ⓒ경기도농수산진흥원 제공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은 경기·강원지역 접경지역의 농촌공간계획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농진원은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와 함께 접경지 농촌 시·군의 농촌공간기본계획 수립 과정과 실무를 지원하기 위한 합동 워크숍을 개최했다.

    지난 11일부터 12일 양일간 강원 인제 스피디움호텔에서 개최된 '2025년 접경지역 농촌공간정책 워크숍'에는 경기·강원 12개 시·군의 기본계획 수립 행정 담당자와 전문기업 등 관계자 44명이 참석했다.

    교육에는 2025년 경기·강원의 접경시·군별 주요 기본계획 수립 현황과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시·군의 현안을 청취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지난해 시행한 '농촌 재구조화 및 재생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촌지역(읍·면지역)을 포함한 전국 139개 시·군에서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경기·강원북부권역은 접경지역이라는 특수성을 반영한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며, 경기도에는 6개 시·군(포천·파주·김포·양주시, 연천·가평군)이 농촌공간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접경지역에 해당한다.

    이날 주요 강사로 참석한 최상만 농림축산식품부 농촌공간계획과 관계자는 "접경지역 또한 일반 농산어촌 시·군과 마찬가지로 2026년까지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만큼, 접경지 현안에 대한 시·군별 실무자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올해 '2025 경기도 농촌공간 기초지원기관 업무 매뉴얼' '경기도형 농촌다움 실현을 위한 성과지표 개발 및 추진체계 구축 연구' 등 15개 시·군의 기본계획 수립과 실행을 지원하는 기초를 선도적으로 마련해왔으며, 앞으로 농촌공간계획의 필요성 및 실효성 등 제반 인식이 확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