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소속 정윤경 의원(민주당·군포1)이 좌좡을 맡아 지난 4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무급 가사노동 가치 인정을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제공
    ▲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소속 정윤경 의원(민주당·군포1)이 좌좡을 맡아 지난 4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무급 가사노동 가치 인정을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소속 정윤경 의원(민주당·군포1)이 '무급 가사노동 가치 인정을 위한 방안 모색'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4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정책토론회는 도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사회의 근간을 유지하고 있는 무급 가사노동의 가치 인정 방안을 모색하고자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공동 주최로 개최됐다.

    주제발표를 맡은 한옥자 서울사이버대학교 석좌교수는 "가족복지 향상, 노후 소득 보장, 저출산 문제 해소 등 가사노동의 가치 인정 정책의 효과로 인한 가사노동의 성적 편향성을 극복하고, 교육과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 개최 등 가사노동 재평가와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토론을 맡은 이은정 경기자주여성연대 대표는 "가사노동의 대부분을 주부가 담당하고 있지만 이를 사적 영역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가사노동의 가치와 중요성이 재평가돼 노동의 영역으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다미 군포여성민우회 대표는 "지금까지 가사노동은 여성의 헌신성으로 미화돼 사회노동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사회적으로 외면 받아왔기 때문에 경기도가 가사노동에 대한 경력과 가치를 인정할 수 있도록 꾸준히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광민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위원은 "남성이 사회에 나가서 일하고 여성은 가정에서 가사노동 하는 것을 당연히 여기는 정상 가정 이데올로기로 인해 가사노동을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며 "가사노동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 인식의 변화를 위해 현재 근로기준법에 맞출 수 있는지 유의하면서 보편적 복지와 가사노동을 연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좌장을 맡은 정 의원은 "가사활동은 단순한 일상적 업무를 넘어 가정과 사회의 기본적인 안정과 복지를 유지하고 증진하는 중요한 역할"이라며 "경기도가 관련 정책을 먼저 시행해 무급 가사노동 가치 인정에 대해 전국을 선도하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