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정 시의원, 생활폐기물 거점 적환장 조성 의도 '주장'용인시, "사실과 전혀 달라… 시민들 오해하지 말기를"
  • ▲ 용인시가 기존 구성 적환장에 신규 부지를 확충하는 '기흥구 적환장 확충사업'을 추진한다. 사진은 구성 적환장 전경. ⓒ홍완식기자
    ▲ 용인시가 기존 구성 적환장에 신규 부지를 확충하는 '기흥구 적환장 확충사업'을 추진한다. 사진은 구성 적환장 전경. ⓒ홍완식기자
    용인특례시가 기흥구 적환장 확충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박희정 용인시의회의원이 사업계획과 다른 내용으로 각종 의혹과 문제 제기에 나서면서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1일 용인시에 따르면 용인시는 기흥구 언남동 16-2외 3필지에 1만2033㎡ 규모의 '기흥구 적환장 확충사업'을 추진 중이다. 

    기존 신갈적환장이 '용인플랫폼시티' 개발구역 예정지에 포함됐고, 개발구역 내 존치 시 부지 매입 비용만 211억 원이 소요돼 미화원대기실·창고 등 필요시설만 기흥구 적환장으로 옮겨 짓는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용인시는 도시계획시설 결정을 위해 주민 공람공고 절차를 밟고 있으며, 지난 3월부터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진행 중이다.

    용인시는 기존 구성적환장 부지에 구성·동백지역 종량제폐기물을 당일 민간업체로 반출하기 위한 밀폐형 상차시설을 신설하고, 바로 옆 부지에 폐가전 등을 보관하는 창고와 미화원휴게실·차고지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 ▲ 박희정 용인시의회 의원이 지난달 27일 제293회 용인시의회 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용인시의회 제공
    ▲ 박희정 용인시의회 의원이 지난달 27일 제293회 용인시의회 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용인시의회 제공
    그러나 일부 용인시의원은 해당 사업이 단순 이전이 아닌 기흥구 전역의 생활폐기물 거점 적환장을 조성하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지난 6월27일 제293회 용인시의회 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2023년 11월 자원순환과가 작성한 공유재산 취득계획 보고서에는 ‘생활폐기물 적환장 신설’이라고 명시돼 있으며, 2024년 2월 공유재산심의 자료에도 해당 부지가 생활폐기물 적환장 위치로 분명히 표시돼 있다"며 "생활폐기물이란 폐기물관리법상 종량제쓰레기·음식물폐기물·재활용품·대형폐기물 등을 포함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이번 사업은 기흥구 전역의 유일한 거점 생활폐기물 적환장으로 만들려는 확장 계획"이라며 "사업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 '기흥구 적환장 확충사업' 조감도. ⓒ용인시 제공
    ▲ '기흥구 적환장 확충사업' 조감도. ⓒ용인시 제공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은 실제 사업 계획과는 거리가 멀다.

    박 의원이 제시한 ‘생활폐기물 적환장 신설(구성→광주시 광역소각장)’은 기흥구에 소각시설이 없고 용인환경센터와 수지환경센터의 소각시설 용량은 부족한 상황에서 구성·동백지역 종량제폐기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시설을 건축물로 밀폐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시설은 소형 차량이 당일 수거한 구성·동백지역 종량제폐기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대형 차량으로 옮겨 싣는 밀폐형 시설이다.

    폐기물관리법상 사업장폐기물 외 모든 폐기물은 ‘생활폐기물’로 분류되는데, 해당 보고서 및 도면에 생활폐기물 적환장으로 표시된 것은 폐기물관리법상 대분류에 따른 것이다.

    용인시는 현재 음식물류폐기물의 경우 처인구 고림동적환장에서 일괄수거해 민간에 위탁 처리한다. 종량제폐기물은 거의 모두 처인구·수지구에 위치한 환경센터에서 처리하고, 남은 일부는 민간에 위탁 처리한다.

    용인시도 박 의원의 주장은 왜곡된 문제 제기라는 의견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박희정 의원이 자료를 요청해 제출했는데, 사실과 다른 이야기를 하셔서 아쉽다"며 "시의 사업 내용을 잘 모르는 시민들이 이번 도시계획시설 검토 부지에 음식물류폐기물과 종량제폐기물 등 모든 폐기물이 들어오는 것처럼 오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