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시 복지 새 모델 제시
  • ▲ 화성특례시청 전경ⓒ홧성시 제공
    ▲ 화성특례시청 전경ⓒ홧성시 제공
    화성특례시는 1일 전국 최초로 기본사회 전담 부서인 ‘기본사회담당관’을 공식 출범하며 ‘화성형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화성시는 인구 100만 명을 넘어선 특례시로, 소득·금융·주거·교통·의료 등 시민 삶의 기반이 되는 민생 전 분야에 걸쳐 기본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 누구나 존엄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 기반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성시는 지난 1월10일 특례시 최초로 ‘기본사회팀’을 신설한 바 있으며, 이번에는 이를 확대해 ‘기본사회담당관’으로 격상시켰다.

    기본사회담당관은 △기본사회정책팀 △기본사회지원팀 △사회적경제기획팀 △사회적경제지원팀 등  4개 팀으로 구성됐다. 각 팀은 기본소득, 기본서비스, 사회적경제, 지속가능성 등 ‘화성형 기본사회’의 핵심 분야를 전담하게 된다.

    화성시는 앞으로 ‘기본사회추진단’을 구성해 분야별 전문가 및 실무자 중심의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시민 아이디어 공모와 화성시연구원과 공동연구 등을 통해  기본사회 시민참여형 정책 발굴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기본사회담당관 신설은 100만 대도시에 걸맞은 최고 수준의 복지체계를 만들겠다는 정책적 의지를 담은 것”이라며 “화성시가 대한민국 기본사회정책의 이정표이자, 전국 지자체의 등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 시장은 지난 6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MARS 2025' 인공지능(AI) 박람회 기간 중 ‘화성형 기본사회 미지답 포럼’을 개최해 AI 시대 지방정부의 역할과 기본사회정책의 필요성을 대외적으로 알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