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용인도시공사 3공구부터 착공
  • ▲ 용인플랫폼시티 실시계획인가 조감도. ⓒ용인시 제공
    ▲ 용인플랫폼시티 실시계획인가 조감도. ⓒ용인시 제공
    용인특례시는 ‘경기용인플랫폼시티 도시개발사업’의 실시계획을 인가했다고 26일 밝혔다.

    경기용인플랫폼시티는 기흥구 보정·마북·신갈동과 수지구 상현·풍덕천동 일원 272만㎡(83만 평) 규모로 조성하는 경제 복합 자족 신도시다. 

    용인시와 경기도·경기주택도시공사·용인도시공사가 공동 사업시행자로 참여하는 공영개발로 사업비 8조2680억 원이 투입된다.

    용인시는 경기용인플랫폼시티의 각종 행정 절차가 마무리됨에 따라 오는 30일 첫 삽을 뜬다. 

    이날 용인도시공사가 공사를 담당한 3공구 착공을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에는 경기주택도시공사가 1·2공구를 착공, 오는 2030년까지 부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용인시는 플랫폼시티 일대에 GTX 구성역을 중심으로 수인분당선·경부지하고속도로 등의 광역교통망을 효율적으로 연계해 ‘수도권 남부 교통 허브’를 조성하고, 주거·상업·산업·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플랫폼시티는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영향평가 결과와 관련 기관 협의 등을 반영해 주거용지 37만7718㎡(13.8%), 상업용지 15만8701㎡(5.8%), 산업용지 44만9705㎡(16.4%), 도시기반시설용지 162만9291㎡(59.8%), 기타시설용지 11만3454㎡(4.2%)로 계획됐다.

    계획인구는 2만7283명, 주택 1만105가구를 공급하되, 공공임대주택은 1954가구로 전체 주택의 19% 수준으로 계획됐다.

    용인시는 특히 산업시설용지로 계획된 44만여㎡에는 반도체 연구개발(R&D)기업 등 유수의 기업을 유치해 이동·남사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를 잇는 ‘L자형 반도체 벨트’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경기용인플랫폼시티는 수도권 남부의 핵심 거점이 될 자족도시를 목표로 하는 만큼 많은 인구 유입과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며 “새로운 미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도시를 조성할 수 있도록 계획에 맞춰 공사를 차질 없이 진행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