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경기공유학교·경기온라인학교 밀착 지원체계적 교육활동 지원 위해 조직체계 갖춰"기구와 기능 효율적 재구조화해 현장 밀착 지원"
-
- ▲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이 경기미래교육 추진과 체계적 교육활동 지원을 위해 새롭게 조직 체계를 갖춘다.학교와 경기공유학교·경기온라인학교를 밀착 지원하기 위해서다.경기도교육청은 2025년 3월1일자로 조직 개편을 추진해 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의 정책과 사업 추진 체계를 일원화하고, 학교 현장을 적극 지원하는 튼튼한 체계를 갖춘다.경기교육청은 경기미래교육정책의 효율성과 연계성을 높이고 사무의 균형을 고려해 실·국 간 일부 부서를 이동 조정한다.제1부교육감 소속으로 기획조정실·행정국·협력국'을, 제2부교육감 소속으로 '학교교육국·지역교육국·디지털인재국'을 둔다.'기획조정실'은 기존 교육행정국의 교육행정 정보화사업을 이관해 '정보화담당관'을 신설·개편하고, 법무행정과 교직원 법률 지원 강화를 위해 행정법무담당관에서 업무를 분리해 '법무담당관'을 신설한다.'행정국'은 '학교설립과'의 기능을 강화해 도교육청에서 직접 학교신축사업을 수행해 책무성을 강화하고 교육지원청의 업무도 경감한다.또한 기존 교육협력국의 사립학교의 재정 지원 및 지도·감독업무 등이 이관된다.'협력국'은 협력적 교육복지 강화를 위해 기존 융합교육국의 학생·교직원 교육복지 지원 등의 사무를 이관한다.'학교교육국'은 교육1섹터 학교 중심의 정책 기획과 지원을 위해 기존 교육정책국의 명칭을 변경한다.이와 함께 '학교교육정책과'를 신설해 학교 지원을 강화하고 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정책을 추진하도록 기존 교육과정정책과를 '초등교육과'와 '중등교육과'로 개편한다.기존 융합교육국의 인성교육 등 관련 사무를 이관해 교육과정에서 인성교육이 유기적으로 이뤄지도록 한다.'지역교육국'은 지역 기반 다양한 학습 지원 강화를 위해 기존 융합교육국에서 명칭을 변경한다.기획조정실의 경기공유학교 기획 및 운영 등 사무를 이관해 ‘지역교육정책과’를 신설, 교육2섹터 경기공유학교 확대로 지역 교육 역량을 연계해 맞춤형 교육을 강화한다.또한 기존 교육정책국의 진로·직업교육 등 관련 사무를 이관해 지역사회와 협력해 교육자원을 활용한 진로·직업교육으로 학생들의 잠재력과 역량을 키운다.'디지털인재국'은 디지털교육을 기반으로 온라인 학습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기존 인재개발국에서 명칭을 변경한다.'디지털교육정책과'를 신설해 교육3섹터 경기온라인학교와 하이러닝 등을 활용해 시간·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나 누구나 양질의 교육을 받도록 돕는다.기존 융합교육국의 평생교육 등 관련 사무를 이관해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한다.이와 함께 행정법무담당관 조직·정원 업무와 학교업무개선담당관 업무를 일원화하고자 '행정관리담당관'을 개편하고, '교원인사정책과'를 단독 과로 개편해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고 미래교육 추진을 위해 학교 지원을 강화한다.정은지 경기도교육청 행정법무담당관은 "이번 조직 개편은 학교·경기공유학교·경기온라인학교의 유기적 협력으로 공교육을 확장하는 경기미래교육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도교육청 기구와 기능을 효율적·체계적으로 재구조화해 교육 현장을 밀착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