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이전 남자, 봄·가을철 많이 발생
-
- ▲ 황인섭 황인섭내과의원장
알레르기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의해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주로 꽃가루, 먼지, 동물의 털, 곰팡이 등과 같은 알레르겐이 원인이다.이 질환은 특히 봄철과 가을철에 많이 발생한다.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들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주로 사춘기 이전 남자에게서 많이 발생한다.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주요 원인으로는 꽃가루, 먼지진드기, 동물 털, 곰팡이, 미세먼지 등이 있다. 특히 지금과 같은 봄철에는 나무와 풀에서 나오는 꽃가루가 주된 원인이다. 이러한 원인물질이 결막에 접촉될 경우 과민반응이 나타나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알레르기성 결막염이 발생하면 먼저 가려움증을 크게 느낀다. 눈과 주변 부위에서 심한 가려움이 느껴진다. 이후 눈이 화끈거리며 충혈된다. 결막이 붉어지며, 눈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또한, 눈물이 많이 나거나 젤리 같은 투명한 분비물이 나타난다. 빛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해 눈부심을 느낄 수 있다.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환자의 증상을 확인해 진단한다. 눈의 상태를 직접 보고 염증과 증상을 확인한다. 필요한 경우 피부반응검사나 혈액검사를 통해 특정 알레르겐을 확인할 수 있다.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는 항히스타민제 점안액을 사용한다. 가려움증과 염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이다.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처방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에는 주의가 필요하므로 의사의 지시를 잘 따라야 한다.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피하고 집안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취약하다면 봄철과 같이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시기에는 외출을 자제하거나 마스크를 착용해 알레르기 유발 물질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아울러 먼지와 진드기를 제거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청소해 집안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좋다. 필요한 경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예방적인 안약을 사용할 수도 있다.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흔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예방을 통해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자주 겪는 사춘기 이전의 남성의 경우 사춘기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저절로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황인섭 황인섭내과의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