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용지 90% 개발, 업무·상업지구 50% 미만
  • ▲ 인천 송도국제업무단지 세부적 용지 개발안 ⓒ인천경제청 제공
    ▲ 인천 송도국제업무단지 세부적 용지 개발안 ⓒ인천경제청 제공
    세계적인 비즈니스 중심지로 개발하겠다던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업무단지가 '아파트촌'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05년부터 사업 추진이후 아파트용지 개발은 90% 넘게 진행된 반면  업무·상업용지 개발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6일 인천시의회와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전체 부지 면적이 580만3000㎡에 달하는 송도국제업무단지는 개발사업이 본격화한 지 20년이 넘었지만, 현재 개발 진척률이 80%에 머물고 있다.

    이 사업은 애초 포스코건설(현 포스코이앤씨)과 미국의 부동산 개발업체 게일인터내셔널이 3대 7의 지분 비율로 설립한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NSIC)가 2005년부터 진행해왔다.

    그러나 포스코건설과 게일이 갈등을 빚으며 2015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사업이 전면 중단됐고, 포스코건설이 확보한 게일 지분을 새로운 투자사 2곳에 매각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후에도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 정주 여건 마련에 필요한 국제병원과 제2국제학교 건립이 투자자를 찾지 못해 수년째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 

    인천시의회는 송도국제업무단지가 이른바 개발업자 뱃속만 불려주는 아파트·주상복합 분양은 빠르게 진행됐지만 국책사업인 경제자유구역 조성 취지에 맞는 국제업무시설과 외국인 이용시설 개발은 극도로 부진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현재 송도국제업무단지의 용도별 개발 진척률은 주택건설용지 93%(137만7000㎡ 중 128만5000㎡), 상업업무용지 47%(115만1000㎡ 중 54만6000㎡)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송도국제업무단지 내 국제병원(8만㎡)과 제2국제학교(7만1000㎡) 부지도 사업자를 유치하지 못하면서 주변에 밀집한 아파트 단지와 대조적으로 계속 빈 땅으로 있다.

    이에 따라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2월 '송도국제업무지구 활성화 및 11공구 도시계획 변경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인천경제청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소위원회 위원들은 "송도국제업무단지 내 아파트 용지는 원래 업무부지 개발을 위한 수익적 용지로, 기업 유치를 위해 조성원가 등 염가로 제공됐음에도 주객이 전도되면서 아파트촌으로 변질했다"고 질타했다.

    시의회는 송도국제업무단지가 아파트 위주로 개발된 원인을 인천경제청이 제공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경제청이 2011년 5월 국제업무단지 개발시행자 NSIC와 합의해 주거 대비 업무 개발 비율을 8대 2로 완화한 뒤 재협상하지 않고 14년이 지나도록 방치해 아파트만 난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시의회는 송도국제업무단지에 마지막 남은 아파트 용지인 G5블록마저 개발을 허용하면 기업 유치가 사실상 어려워질 것으로 지적했다. 

    이강구 소위원장은 "송도국제업무단지가 아파트 위주로 개발된 것을 부끄러운 일이며 인천경제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제가 취임하기 전에 관련 행정절차들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해결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