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시간·저작권·관리 혁신적 개선 이뤄”
-
- ▲ 경기관광 홍보영상 '사랑도 여행도 경기도' 갈무리. ⓒ경기관광공사 제공
경기관광공사는 16일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홍보 영상을 제작,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본격 송출을 시작했다.경기관광공사의 이번 시도는 공공기관의 기존 외주 중심 제작 방식을 벗어나, 내부 인력이 직접 콘텐츠를 기획·제작하고 매체를 통해 확산까지 실행한 새로운 사례다.이번에 경기관광공사가 제작한 영상은 2편으로, 경기관광 홍보 영상 ‘사랑도 여행도 경기도(30초)’와 개인정보보호 캠페인 영상(60초)이다.특히 ‘사랑도 여행도 경기도’는 한 여성의 유년부터 노년까지 인생의 순간마다 경기도가 함께했던 추억을 담아낸 감성 영상으로, 빠른 전개와 AI 기반 고화질 이미지로 몰입감을 높였다.영상은 경기관광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ZacMmUcYo9s)에서 확인 할 수 있다.경기관광공사는 이번 AI 활용 영상 제작을 통해 비용·시간·저작권·관리 면에서 혁신적 개선을 이뤄냈다.기존 홍보 영상 제작을 위해서는 외주업체와 계약이 필요해 행정 절차에 따른 예산, 촬영 시간, 모델 저작권 등 제약이 있었던 반면, AI 영상 제작은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효율적 제작, 관리가 가능하다.또 AI 상업용 라이선스를 활용한 저작권 확보, 콘텐츠 재사용 및 확산 관리의 용이성 등 실질적 혁신 효과도 얻었다.경기관광공사는 이번 영상 기획, 제작, 편집에 모두 약 7일이 걸렸고 예산은 AI 월 구독료만 사용했다고 밝혔다.경기관광공사는 이러한 방식을 공사 전 직원이 함께 체득할 수 있도록 실무교육도 병행했다.이날 오전에는 홍보 영상 제작 담당자가 직접 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AI 콘텐츠 제작 실무 노하우 교육’을 진행, 직원들의 AI 활용도와 관심도를 높였다.경기관광공사 관계자는 “AI는 미래가 아닌 현재”라며 “기존 촬영에만 수개월이 걸리고 예산이 수천만 원이 필요하던 방식을 과감히 벗어나 새로운 AI라는 수단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조원용 경기관광공사 사장은 “AI 활용 정도가 곧 업무 효율을 결정하는 시대”라며 “공사는 앞으로 단순 AI 도입을 넘어 홍보, 상품 기획, 고객 응대 등 다양한 부문에 AI를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