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시내 초등학교 인근 어린이 보호구역내에는 바닥형 보행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 인천시 제공
    ▲ 인천시내 초등학교 인근 어린이 보호구역내에는 바닥형 보행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오는 12월까지 26억 원을 투입해 62곳의 어린이보호구역 내 보행자 안전 강화를 위해 경보등 3곳과 바닥형 보행신호등 59곳을 추가 설치한다.

    이번 사업은 인천시의 '시민체감형 지속 가능한 교통정책'의 일환으로 단순한 신호등 추가를 넘어 현장맞춤형 위험 분석과 선제적 대응에 기반한 실효성 높은 교통안전환경 조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설치 대상은 만수북초·계양초·부곡초·청학초 등 보행량이 많고 사고 위험도가 높은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선정됐다.

    인천시는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지점을 우선해 시인성이 뛰어난 신호기 설치를 집중 추진한다.

    이를 통해 통학로의 안전 체감도가 크게 향상되고,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인천시는 기대했다. 

    인천시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434곳의 어린이보호구역에 신호등을 설치해왔으며, 지난해에도 83곳에 경보등과 바닥형 신호등을 설치한 바 있다.

    올해는 이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정밀한 위험도 평가와 현장 실사를 통해 ‘선제적 대응형 안전시설’로 한 단계 도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경보등(노란 신호등)은 운전자에게 어린이보호구역 진입을 직관적으로 알리고,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어린이 눈높이에 설치돼 신호 인지도를 높이고, 무단횡단 예방에 효과적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신호기 설치는 단순한 시설 설치를 넘어 미래세대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보장하는 일"이라며 "지역주민, 군·구, 인천경찰청, 교육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0)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