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시는 지난 9월 제7차 해상풍력 민관협의회를 개최한후 참석자들이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 인천시는 지난 9월 제7차 해상풍력 민관협의회를 개최한후 참석자들이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IC1)’지정 신청서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공식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신청한 해상 풍력단지는 옹진군 백아도 남서쪽 약 22km 해상에 위치하며 총 1GW 규모다.

    사업계획에는 사업의 실시능력을 비롯해 전력계통 확보, 주민수용성 및 환경성 확보, 이익공유 및 산업 생태계 강화방안 등이 담겨 있다.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발전사업은 지난 2022년부터 기후에너지환경부의 공공주도 적합입지 발굴사업과 단지개발 지원사업을 연계, 추진 중이며 ‘대한민국 대표 공공주도 계획입지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인천시는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의 필수요건인 수용성 확보를 위해 지난 5년간 누적 약 1650명의 이해관계자와 소통을 이어왔다.

    그 결과 지난 달 24일 개최된 제7차 인천 해상풍력 민관협의회에서 사업계획(안)이 원안 가결되며 지역사회의 공감대를 확보했다.

    이번에 제출된 사업계획은 향후 한국에너지공단의 평가를 거쳐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의 심의를 통해 내년 3월 이전 최종 지정 여부가 확정될 예정이다.

    집적화단지가 지정되면 인천시는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조성과 재생에너지 중심 도시로의 도약을 본격 추진하게 된다.

    유정복 시장은 “이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은 어업인과 지역주민의 높은 기후 감수성과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어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상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인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