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과 배출권 확보
  • ▲ 인천시 강화군 주택에 리모델링해 설치한 태양광 3K 시스템 ⓒ인천시 제공
    ▲ 인천시 강화군 주택에 리모델링해 설치한 태양광 3K 시스템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국내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 사업을 활용한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방법론을 발굴하고, 환경부 인증 절차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은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의 조직 경계 밖에서 자발적으로 추진한 감축 활동을 인증받아 배출권(KOC, Korean Offset Credit)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다.

    시는 공동주택과 산업단지 등 다양한 장소에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발생한 감축 실적을 외부사업으로 인증받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10월 인천시·인천연구원·한국에너지공단 인천지역본부 간 체결된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추진됐다.

    지난 7월 ‘건물부문 외부사업 컨설팅 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면서 본격화 됐다.

    인천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외부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김성우 인천연구원 인천탄소중립연구지원센터장은 “이번 외부사업은 지방정부가 기후정책의 설계자이자 실행자로서 역할을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다른 지자체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협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방법론 발굴 추진은 시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에 대한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단순한 참여를 넘어, 제도 설계와 실행의 주체로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시민과 함께 탄소중립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