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래습지생태공원 현장 방문
  • ▲ 유정복(맨 왼쪽) 인천시장이 17일 소래습지생태공원을 찾아 지역 관광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해 보고를 받고 향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 유정복(맨 왼쪽) 인천시장이 17일 소래습지생태공원을 찾아 지역 관광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해 보고를 받고 향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17일 남동구 소래염전 국가도시공원 조성 사업 현장을 방문,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유 시장은 이날 국가도시공원 조성사업의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보고 받고 소래지역이 보유한 생태·문화·관광자원을 연계한 활용 방안에 대해 관계자들과 심도있게 논의했다.

    소래염전 국가도시공원 조성사업은 지난 8월 개정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로 국가도시공원 지정 요건과 국비 지원 범위가 확대된 것을 계기로 추진되고 있다.

    개정 이전에는 지정 면적이 300만㎡ 이상이었으나 개정 후 100만㎡ 이상으로 완화됐다.

    또 국비 지원도 기존 일부 지원에서 전부 또는 일부 보조(보상비 제외)로 확대됐다.

    시는 이러한 제도적 변화를 기회로 삼아 소래습지·해오름공원·람사르습지·장도포대지 등 약 600만㎡를 통합한 ‘소래염전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1단계로는 소래습지생태공원 육지부, 장도포대지공원, 해오름공원 등 약 103만㎡를 통합하는 국가도시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관리계획 및 공원조성계획 수립 등 법적 절차와 관련 협의를 마친 뒤 2026년 하반기 국토교통부에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소래지역은 갯벌, 염 습지 등 다양한 자연 해안선을 기반으로 한 풍부한 생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은 생물다양성이 높아 저어새, 흰발농게, 검은머리갈매기 등 300여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 공간으로 꼽힌다.

    유 시장은 “소래염전 국가도시공원 지정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소래포구와 연계한 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 발전을 통해 소래습지를 수도권과 서해안을 대표하는 세계적 생태·문화 명소로 키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