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윤경 경기도의회 부의장(오른쪽)이 4일 경기도일자리재단 관계자들과 정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제공
정윤경 경기도의회 부의장(민주·군포1)이 '청년 엔지니어 육성사업'에 따른 지역 정착 지원을 약속했다.
정 부의장은 4일 경기도일자리재단 관계자들로부터 이와 관련한 추진 현황을 보고받고 향후 지원 방향을 논의했다.
'청년 엔지니어 육성사업'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와 연계해 예비 기술인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대학–기업–청년을 연결함으로써 청년 고용, 지역 정착, 기술인력 확보를 동시에 지원한다.
'청년 엔지니어 육성사업' 참여 청년은 대학 입학과 동시에 협약기업 취업이 확정되며, 1학년 때는 학업에 집중하고 2학년부터는 일과 학습을 병행해 실무 경력을 쌓아 3년 만에 조기 졸업할 수 있다.
참여 기업은 기업 부담 등록금의 최대 80%(연 320만 원)를 지원받는다.
또한, 청년이 지역에 거주하며 협약기업에서 근무를 지속할 경우 매월 30만 원의 '고용정주수당'을 지원해 지역 정착을 돕는다.
올해 경기도일자리재단과 시흥시가 함께 추진한 시범사업에서는 한양대ERICA·한국공학대학교·경기과학기술대학교가 참여했으며, 시흥스마트허브 내 23개 우수 중소기업이 청년 30명을 2026학년도 계약학과 신입생으로 뽑을 예정이다.
해당 사업은 청년인재의 지속 가능한 고용 모델이자 지역 소멸 대응정책으로 성과를 인정받아 2026년에는 경기 도내 2개 시·군으로 확대 운영한다.
정 부의장은 "청년들이 일할 기회를 찾아 지역을 떠나고, 남겨진 도시는 점점 활력을 잃고 있다"며 "일자리와 교육을 동시에 제공하며 지역 정착까지 연계하는 이 사업은 청년과 지역 모두를 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정 부의장은 "청년이 머무르지 않는 지역은 결국 학교가 사라지고, 기업이 떠나며, 공동체도 유지될 수 없다"면서 "청년이 경기도에 자리 잡고 삶의 터전을 이어갈 수 있도록 일자리·주거·돌봄을 포함한 종합적인 인구정책을 동료 의원님들과 함께 적극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