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경기도의회 행정사무감사]
-
- ▲ 안계일 경기도의회 의원. ⓒ경기도의회 제공
안계일 경기도의회의원(국힘·성남7)은 화학사고 전담 조직 신설을 촉구하고 나섰다.안 의원은 12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는 이미 전국에서 화학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팀 단위 대응체계로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명확하다"며 "장비·인력·훈련·지휘체계를 일원화한 전담 화학구조단 신설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지적했다.실제로 최근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464건 중 104건(22.4%)이 경기도에서 발생했다.경기 도내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은 6059곳, 취급 물질은 15개 법률과 7개 부처에 의해 관리되는 6600여 종에 달한다.그럼에도 경기 도내 소방인력 약 1100여 명 중 화학사고 대응 전문인력은 113명(1%)에 불과하다.현재 도내 화학사고 전담 인력은 특수대응단 내 한 개 팀 단위로 운영되며, 소방관서별 장비와 훈련, 지휘체계가 분산돼 대형 화학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잇따른다.안 의원은 2024년 행정사무감사와 2025년 업무보고에서도 같은 요구를 이어왔으며, 당시 소방재난본부장도 "화학구조 기능을 갖춘 전담 센터를 검토하겠다"고 답변했으나 이후 구체적인 조직 개편이나 추진 계획은 공유되지 않은 상태다.안 의원은 "경기도가 전국 최다 화학사고 지역임에도 대응체계는 여전히 임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면서 "사고 후 대책이 아닌 사전 예방 중심의 구조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안 의원은 화학구조단 관련 조례 제정을 통한 제도적 지원 의지를 밝히며 "의회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준비가 돼 있으니, 이제 본부가 실행 의지를 보여줄 때"라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