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대 경제 가치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
- ▲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장소 제약 없이 근무하는 지구촌 사람들을 지칭하는 '디지털노마드'. 이들이 창출하는 경제 가치는 7870억 달러(1155조 원)에 달한다. ⓒSNS 캡쳐
인천시는 세계 각국의 디지털 기반 인재와 젊은 혁신 인력을 적극 유입·정착하기 위해 ‘디지털 노마드 시티 인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디지털 노마드’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장소 제약 없이 근무하는 지구촌 사람들로, 자유로운 근무 형태와 글로벌 이동성을 기반으로 최근 글로벌 경제·문화 트렌드를 주도하는 새로운 노동 형태를 말한다.올해 1월 한국은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디지털 노마드 인구는 3500만여 명, 이들이 창출하는 경제 가치는 7870억 달러(1155조 원)에 달한다.디지털 노마드 1인당 21일 체류 기준으로 550만 원의 생산 유발 효과, 0.06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돼 지역경제에 큰 파급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주요 구성층은 정주 인프라·디지털 업무 환경·다채로운 관광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은 20대부터 40대까지로 기술 기반 직종 종사자다.인천시는 이들을 유치해 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글로벌 산업기반 확충·혁신 생태계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계획이다.현재 아시아 지역의 디지털 노마드 유입 경쟁력은 대만 12위, 일본 16위, 한국 27위로, 인천시는 아시아 주요 도시와의 파트너십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있다.시는 지난 10월 24일 제주도에서 대만 디지털 노마드 협회(TDNA) 대표와 간담회를 열어 공동협력 의지를 확인했다.이어 내년 5월 대만 가오슝에서 개최될 예정인 ‘(가칭)대만 디지털 거점도시 출범식’에서 인천시와 대만 디지털 노마드협회 간 업무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이와 함께 시는 대만·일본 주요 도시들과 연계해 ‘(가칭)동남아시아 디지털 노마드 연합회’구성을 제안하고, 아시아 차원의 공동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유정복 시장은 “디지털 노마드는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세계 각국의 인재를 인천으로 유치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선도해 인천이 아시아 디지털 경제의 중심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