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경기 GRAND-RISE 동반성장 페스타' 홍보 포스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공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경기 GRAND-RISE 동반성장 페스타' 홍보 포스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공
    경기도형 지·산·학 협력 플랫폼이 본격적으로 출범한다.

    경기도·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기도RISE대학협의회는 오는 26일 연성대학교 연곡문화센터에서 '경기 GRAND-RISE 동반성장 페스타'를 개최한다.

    행사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RISE)'사업의 비전을 공유하고, 도내 67개 RISE 대학과 지자체·유관기관·기업이 한자리에 모여 지·산·학 협력생태계 조성을 본격화하는 자리다.

    RISE는 교육부가 대학 재정 지원 권한을 지방정부에 이관해 지역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도록 설계한 혁신사업이다.

    경기도는 지난 2월 교육부의 RISE 평가에서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돼 도내 34개 대학·컨소시엄(수행대학 67개교)을 RISE 수행대학으로 확정했다.

    올해 페스타는 'RISE with Gyeonggi, Be the NEXT!'라는 슬로건 아래 열리며, 오후 2시부터 진행되는 메인 행사는 RISE 수행대학 현판 증정식과 G7 GAIA 협력센터 출범 현판식이 진행된다.

    이어 경기도RISE사업의 비전을 알리는 비전 선포 퍼포먼스가 이어진다. 

    초청강연에는 김우승 전 한양대학교 총장이 '대학의 임무'를 주제로, 박철우 한국공학대학교 부총장이 '5극3특 체제와 경기도RISE정책 방향'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부대행사도 다채롭게 진행된다. RISE사업 실무자를 위한 역량 강화교육, 대학과 도내 유관기관 간 협업을 도모하는 매칭데이, 대학별 성과를 소개하는 전시 부스가 운영된다.

    전시 부스는 대학별 산학 협력 프로그램과 기업 지원 성과를 소개하며, 학생 참여 프로그램인 토크콘서트, 체험 부스, 팝업스토어도 운영된다.

    또한 G7얼라이언스·GX얼라이언스·인재양성·창업 등 7개 분과위원회 출범식도 진행돼 분야별 전문 협력체계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다.

    아울러 경기도일자리재단·중소벤처기업연수원·KOTITI시험연구원 등 3개 기관은 협력 수요 69건에 대해 논의하는 매칭데이도 이뤄진다.

    경과원 경기RISE센터는 이번 페스타를 시작으로 지·산·학 협력 확산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또한 시·군별 특화사업과 연계한 지역산업 변화에 대응할 인재 양성 체계를 설계하고, 대학별 강점분야를 분석해 기업 수요와 직접 연결하는 협업 모델을 확대한다.

    경과원은 RISE정책의 실행 과정에서 대학의 자율성, 지역산업의 수요, 지자체의 정책적 역할을 한 체계로 묶는 '경기도형 RISE 운영 모델'을 구축해 지속 가능한 협력 구조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이번 페스타는 경기도형 RISE사업이 본격 궤도에 올랐음을 알리는 의미 있는 출발점"이라며 "대학의 혁신 역량과 산업 현장의 수요를 긴밀하게 연결해 지역인재 양성, 취업·창업 연계, 지역 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역설했다.

    행사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 오는 21일 오후 6시까지 온라인 등록(https://naver.me/Fsw7iaTq)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