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행궁 최신 학술 연구결과 교육
  • ▲ 수원특례시 문화해설사를 위한 화성행궁 소양교육 홍보물. ⓒ수원시 제공
    ▲ 수원특례시 문화해설사를 위한 화성행궁 소양교육 홍보물. ⓒ수원시 제공
    수원시가 문화해설사를 대상으로 화성행궁 고증 연구 결과를 교육해 ‘연구 기반 문화해설’을 정착시킨다.

    수원시는 26일과 27일, 12월 3일, 4일 4회에 걸쳐 수원문화재단에서 ‘수원특례시 문화해설사를 위한 화성행궁 소양교육’을 진행한다. 

    유네스코독일위원회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지원하는 이번 교육에는 수원문화재단·수원화성박물관·수원청소년청년재단 등에서 수원화성과 화성행궁을 해설하는 문화해설사들이 참여한다.

    화성행궁 고증 연구의 성과를 해설 현장에 연결하기 위한 교육이다. 연구를 수행한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선다.

    강의 주제는 △화성행궁의 변화와 이중적 기능(이선희 중앙대 교수) △1794년 화성행궁 중심 영역의 건축적 변화(이연노 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건축구조실장) △화성행궁의 발굴(이승연 건축문헌고고스튜디어 건축고고실장) △화성행궁 생활상 고증과 공간 재현(정정남 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등이다. 

    시는 화성행궁 2단계 복원을 추진하면서 건축물 외형 복원뿐 아니라 내부 고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023~2024년 ‘화성행궁 생활상 고증 및 재현 방안 연구’를 수행했다.

    화성행궁의 건축적 변화, 발굴 조사, 생활상 고증과 공간 재현에 대한 근거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수원시 화성사업소는 문화해설사가 현장에서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설명이 최신 연구 성과에 기반해 이뤄질 수 있도록 문화해설사 소양교육을 기획했다. 참가자들에게 제공하는 ‘수원 화성행궁 스토리텔링 가이드북’을 교재로 삼는다.

    수원시 관계자는 “교육을 받은 문화유산 해설사가 더 정확한 역사적 맥락과 고증 자료를 바탕으로 해설 콘텐츠를 구성해 방문객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며 “화성행궁 내부의 고증 복원 필요성이 해설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공유되면서 복원·재현 정책에 대한 시민 공감대도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