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진호 남양주백병원 뇌신경센터 병원장
    ▲ 강진호 남양주백병원 뇌신경센터 병원장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단순한 건망증으로 치부하기 쉽지만, 방치할 경우 알츠하 이머성 치매 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과 판단력, 집중력 등 인지 기능이 부분적으로 저하된 상태로,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수년 내 치매로 진행될 수 있다.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등 약물치료를 통해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고, 재활치료를 병행하면 증상 악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금연·절주 등 기본적인 생활습관 관리가 인지기능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환자 개개인의 생활 패턴에 맞춘 관리가 필요하다.

    치매는 환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전체의 일상과 정서에도 영향을 미치는 질환인 만큼 초기부터 의료진과 보호자가 함께 관리 체계를 세우는 것이 환자의 장기 예후를 좌우한다.

    경도인지장애는 ‘치매로 가는 길목’이지만, 조기 발견과 꾸준한 치료로 충분히 회복과 예방이 가능하다. 정기적인 인지기능 검사와 생활습관 관리로 건강한 노년을 준비하길 바란다.

    강진호 남양주백병원 뇌신경센터 병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