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가 이달부터 현장에 투입한 퇴직공무원을 활용한 축산악취 매니저 사업의 설명회. ⓒ경기도 제공
    ▲ 경기도가 이달부터 현장에 투입한 퇴직공무원을 활용한 축산악취 매니저 사업의 설명회.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축산농가 인근 악취 민원 발생과 지역주민 간 갈등 해결을 위해 퇴직 공무원을 활용한 '축산 악취 매니저' 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축산 악취 매니저 사업은 법령 이해 및 현장에 접목 가능한 축산 관련 지식이 있는 축산직 퇴직 공무원을 분뇨 관리 업무에 적극 활용하는 사업으로, 경기도는 올해 6명을 선발해 이달부터 현장에 투입했다.

    축산 악취 매니저는 오는 12월까지 악취 민원이 발생하거나 분뇨 관리 취약농가로 지정된 도내 14개 시·군 432개 농가를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해 검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또, 분뇨처리시설과 축사 관리 실태조사, 축분퇴비나 악취 관리 지도활동도 한다. 특히 악취저감제나 분무시설 등 주요 악취저감시설의 적절한 사용법도 지도한다.

    이 사업은 2024년도 인사혁신처 퇴직 공무원 사회공헌사업 사회통합분야 공모에 신청해 경기도가 최종 사업 대상자로 선정된 데 따른 것으로 전액 국비로 진행된다.

    이강영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퇴직 공무원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악취 관리 서비스 제공을 통한 가축 분뇨의 적정 관리는 민원 예방과 지역주민 간 갈등 완화 등 긍정적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