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는 1년에 200~300 여 마리가 관찰되는 국내 최대 점박이 물범 서식지로 꼽힌다.ⓒ인천시 제공
    ▲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는 1년에 200~300 여 마리가 관찰되는 국내 최대 점박이 물범 서식지로 꼽힌다.ⓒ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점박이 물범의 국내 최대 서식지인 백령도에서 정화활동을 실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정화활동에는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과 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 한국수족관협회 등 단체는 물론, 백령도 지역주민들로 구성돼 ‘점박이물범을 사랑하는 모임’등  40여 명이 참여했다.

    점박이 물범은 물범류 중 유일하게 국내 바다에 서식하는 해양포유류로, 겨울철에 중국 랴오둥만에서 번식하고 봄부터 늦가을까지 우리나라로 내려와 서식한다.

    백령도는 1년에 200~300 여 마리가 관찰되는 국내 최대 점박이 물범 서식지로 꼽힌다.

    그중에서도 하늬해변과 두무진에 많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해류·조류 등에 각종 해양쓰레기가 주요 서식지에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을수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백령도는 점박이물범을 비롯한 다양한 해양보호생물이 서식하는 해양생물의 보고”라며 “멸종위기에 처한 점박이물범의 적합한 서식 환경 조성과 체계적인 서식지 관리를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