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 강화군이 민통선 접경지역의 북한의 대남방송 피해에 따른 소음방지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제공
    ▲ 인천 강화군이 민통선 접경지역의 북한의 대남방송 피해에 따른 소음방지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제공
    인천시 강화군은 북한의 대남방송 장기화에 대응해 피해 영향권을 분석하기 위한 소음지도를 제작한다.

    강화군은 북한 대남방송 소음을 전문적으로 측정하고 피해 저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 용역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이를 위해 강화군은 오는 11월까지 교동면·양사면·송해면·강화읍·선원면 등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대남방송 실태 조사를 진행한다.

    소음 측정은 24시간씩 사흘간 총 82개 지점에서 이뤄지며, 측정기 등급 2급 이상의 공식 장비와 풍향·풍속계 등 기상장비가 투입된다.

    강화군은 소음 발생 시간, 크기, 주파수, 방향 등 특성을 토대로 소음지도를 작성해 구체적인 소음도와 주파수 등을 제시하기로 했다.

    또 소음지도를 토대로 대남방송의 실제 영향 범위를 분석해 피해 보상과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강화도 접경지 주민들은 지난해 7월 북한이 대남방송을 재개하면서 수면장애·두통을 비롯한 정신적, 육체적 피해를 지속해서 호소하고 있다.

    현재 주민 2만2000여 명이 대남방송에 따른 영향권에 놓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방문객이 줄면서 관광·숙박업에도 타격이 크다고 강화군은 설명했다.

    일부 농가에서는 염소가 사산하거나 닭의 산란에 이상이 생겼다는 민원이 제기돼 보건당국이 현장 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강화군은 지난달 국방부에 대남방송 중단을 위한 '대북방송 중단 촉구 건의서'와 주민 서명부를 제출하는 등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또 지난해 11월부터는 강화군 전역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금지했고 피해 주택을 대상으로 방음창 설치사업도 추진 중이다.

    강화군 관계자는 "소음지도가 만들어지면 실질적 피해 규모를 판단할 기초자료가 마련될 것"이라며 "소음 저감 방안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