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이후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 대표 잇달아 취임한전KPS만 신임 사장 선임 후에도 전 사장 유임 중
-
- ▲ 12ㆍ3 계엄 사태 이후 산자부 산하 에너지 공공기관장들이 줄줄이 취임하고 있지만 한전KPS 사장만 임명에서 제외돼 형평선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한전KPS 전경 ⓒ 한전KPS 제공
12·3 계엄 사태 이후 임명되지 못했던 산업자원부 산하 에너지 공공기관장들이 줄줄이 취임하고 있지만 유독 한전KPS 사장만 임명에서 제외돼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특히 한전KPS는 지난해 12월 주주총회에서 사장 임명안까지 통과됐음에도 5개월째 취임이 보류돼 그 배경에 궁금증을 더하고 있다.21일 산자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달 초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안이 인용되고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임명권을 행사하면서 수개월간 리더십에 공백이 있던 기관들이 새로운 수장을 맞이하고 있다.한국전력기술·한국광해광업공단(코미르)·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기관장들이 잇따라 취임식을 갖고 임기를 시작했다.한전기술 신임 사장에는 지난 15일 김태균 전 한국전력 기술혁신본부장이 취임했다. 지난해 12월 임시 주총에서 대표이사 선임 안건이 통과된 지 6개월여 만이다.같은 날 코미르에서는 한국일보 주필 출신 황영식 신임 사장이 취임했다. 이로써 황규연 전 사장이 지난해 9월 일신상의 이유로 사임한 뒤 공석이던 자리가 7개월 만에 채워졌다. KINS에는 제14대 원장으로 임승철 전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처장이 취임했다. 지난해 7월 원장 공석 이후 약 9개월 만이다.그러나 한전KPS는 지난해 6월 임기가 끝난 김홍연 사장이 현재까지 10개월째 유임 중이다. 한전KPS는 지난해 12월 주총에서 허상국 전 한전KPS 발전안전사업본부장(부사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통과시켰으나 5개월 넘게 임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한전KPS는 한전기술과 같은 상장사이면서 체코원전 팀코리아의 일원이기도 하다. 특히 허 전 부사장은 기관 업무의 전문성도 갖췄다는 점에서 임명 지연이 장기화하면서 갖가지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에너지업계 관계자는 "대통령권한대행 체제에서 공공기관장 선임이 전체적으로 이뤄지지 않을 때는 수용할 수 있었지만, 줄줄이 임명 절차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한전KPS만 제외된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지적했다.한전KPS노조 등 안팎에서는 "이미 지난해 6월 임기가 끝난 현 김홍연 사장이 계속 자리를 지키게 하는 것은 도저히 납득하기 힘들다"면서 "산자부는 허상국 신임 내정자를 왜 제청하지 않는지, 그리고 임기가 끝난 사장을 왜 계속 그 자리에 두는지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공공기관장 선임안이 주총까지 통과한 상태에서 대통령 임명이 이뤄지지 않은 이후 절차에 대한 규정은 별도로 없다. 다만 현 상태가 오는 6월 대선까지 지속해 새 정부가 들어서면 사장 임명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