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양평고속도로' 양서면 현장 방문"김건희 일가가 양평군민을 탄압한 것"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오후 양평군 양서면의 서울-양평고속도로 현장을 방문하여 점검하고있다. ⓒ경기도 제공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오후 양평군 양서면의 서울-양평고속도로 현장을 방문하여 점검하고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서울~양평고속도로 특혜 의혹과 관련해 특검 협조와 사업 속개를 약속했다.

    김 지사는 8일 "특검은 누가(Who), 왜(Why), 어떻게(How) 이런 일을 만들어 지난 3년을 허송세월하게 했는지,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에게 피해를 줬는지 밝혀야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서울~양평 고속도로 원안의 종점인 양평군 양서면을 찾아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과거에 '선거는 패밀리비즈니스'라고 한 바 있다.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해 권력을 도구로 활용한 정황이 너무나 명백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필요하다면 경기도가 자료의 임의제출까지 해서라도, 특검이 명명백백하게 진상을 밝히는데 선제적으로 협조하라 지시했다"면서 "이제는 원안대로 빨리 추진하는 것이 답이다. 제대로 된 사업이 빠른 시간 내에 속개되도록 경기도는 적극 중앙정부와 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서울시 송파구 오금동에서 양평군 양서면의 27.0km구간으로 계획됐다.

    하지만 윤석열 정권 출범 직후 돌연 변경돼 종점이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바뀌면서 국민혈세인 사업비도 1000억 원 가량 늘었다,

    강상면에는 김건희 일가의 토지가 있었기 때문에 자연히 윤석열 당시 대통령 처가의 땅값 상승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제기됐고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은 2023년 7월 돌연 사업 중단을 선언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백지화 결정 직후 백지화 철회를 요구하는 첫 입장문을 시작으로 원안 이행과 수사를 촉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김 지사는 "권력을 도구로 해서 사익을 채우고,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채우려다 벌어진 일이 아닌지, 그를(사익을) 위해서 정부 기관과 관련된 여러 단체들이 함께 협조 내지 사주한 것인지 특검에서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질 것이라 생각한다"며 "다시는 국민의 세금을 써서 우리 국민들, 도민들께 피해가 가는 일을 막기 위해서 반드시 이번에 진상규명이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이 사업에 이미 60억 넘게 예산이 반영됐지만 논란이 되면서 한 해는 불용이 됐고, 다음 한 해는 아예 그 예산이 삭감됐다"면서 "경기도는 새 정부와 함께, 국정기획위원회라던지 또는 관련 부처와 협의해서 당초 안대로 빠른 시간 내에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