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에서 보는 감각이상
-
- ▲ 관악사랑의병원 정재우 신경과장
손끝이 찌릿하거나 발바닥이 시큰거리는 증상을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한다.대부분은 일시적 혈액 순환 문제나 잘못된 자세로 인한 압박으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긴다. 하지만 가만히 있어도 저림 증상이 반복되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신경계 원인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신경과에서 손발저림의 원인을 볼 때 가장 먼저 감별하는 것은 말초신경병증이다. 말초신경은 뇌와 척수에서 나와 전신으로 퍼지는 감각·운동 신경을 말하며, 이 신경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될 경우 손끝이나 발끝부터 저림 증상이 시작된다.특징적으로는 양측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밤에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작은 자극에도 과하게 반응하는 이상감각을 동반하기도 한다.말초신경병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당뇨병성 신경병증이며, 이 외에도 음주, 비타민 결핍, 갑상선 기능 저하, 만성 신장질환 등 대사성질환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또 일부 약물이나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도 원인이 될 수 있다.한쪽 손만 저리거나 손목을 꺾을 때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국소적 신경 압박을 의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수근관증후군(손목터널증후군)이다. 정중신경이 손목 부위에서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엄지와 둘째, 셋째 손가락에 저림과 감각 저하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이 외에도 팔꿈치 부위의 척골신경 포착, 경추 디스크, 요추 신경근 병변 등도 손이나 발의 저림을 유발할 수 있다.손발저림이 다리의 한쪽에만 나타나고 걷기 힘들어지는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중추신경계의 병변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뇌졸중 초기나, 척수염, 다발성 경화증 같은 질환에서도 비슷한 감각이상이 시작될 수 있다.신경과에서는 손발저림이 단순한 말초 증상인지, 더 큰 신경계 문제의 초기 신호인지 구분하기 위해 신경전도검사·근전도검사·혈액검사·영상검사(MRI 등)를 병행한다. 감각의 범위, 대칭성, 증상의 시기적 패턴을 종합해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약물 치료, 생활 조절, 혹은 신경 차단 치료 등이 이뤄진다.중요한 것은 손발저림을 단순 혈액 순환 문제로만 오인해 방치하면 원인질환의 조기 발견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저림 증상이 6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강해지는 양상, 수면 중 악화하는 패턴, 혹은 운동 기능 저하나 감각 소실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정재우 관악사랑의병원 신경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