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산업에 미칠 영향 논의, 기관별 대응 방안 공유
-
- ▲ 인천시는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 실무회의를 열고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13일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 3차 실무회의를 열고, 최근 한미무역합의에 따른 지역경제 영향을 점검하며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이번 회의는 지난 7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대해 미국이 15%의 상호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지역수출기업 보호를 위한 대응을 한층 강화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회의에는 인천시를 비롯해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등 9개 기관이 참여했다.회의에서는 무역합의로 확정된 상호관세율과 품목 관세율이 인천 주력산업에 미칠 영향을 논의하고, 기관별 대응 방안과 기업들의 애로사항, 건의사항 등을 공유했다.인천시는 관세 부담으로 인한 수출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지난 7월14일부터 1500억 원 규모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 중이다.지난 7월31일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인천시는 500억 원을 추가 투입, 총 2000억 원으로 확대했다. 또 수출 판로 다변화도 적극 추진 중이다.또 올 들어 600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 32회의 수출상담회 및 해외 전시회 참가를 지원했으며, 그 결과 7월 말 기준 총 3102건의 상담과 1억 3010만 달러 규모의 계약상담 성과를 기록했다.인천시는 앞으로도 중동·동남아 등 신흥시장 개척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인천시 관계자는 "앞으로 비상대응 TF를 중심으로 업계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출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모든 행정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