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5일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텐센트 클라우드 사업부의 상하이 지사를 찾아 둘러보고 있다. ⓒ경기도 제공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5일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텐센트 클라우드 사업부의 상하이 지사를 찾아 둘러보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중국 인터넷 및 인공지능(AI) 생태계의 주요 기업인 '텐센트'와 경기도내 AI 기업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김 지사를 비롯한 경기도 대표단 방문에는 국내 AI 분야 선도 기업들은 25일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텐센트 클라우드 사업부의 상하이 지사를 찾았다.

    세계 35개국에 지사를 둔 텐센트의 시가총액은 1070조(7639억달러)에 달한다. 세계 14위, 중국에서 1위다.

    현재 텐센트 클라우드는 모든 사업 부문에 AI를 적용하는 'AI IN ALL'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경기도 기업에 더 많은 비즈니스 기회를 주기 위해 함께 텐센트 클라우드를 방문했다"면서 "경기도 기업과 텐센트 클라우드 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김 지사와 함께 동행한 도내 기업인들은 NHN클라우드, 메가존 클라우드, 한글과컴퓨터, 에이아이웍스, 하이퍼놀로지, 이니텍의 대표 또는 부사장, CTO(최고기술관리자) 등이다.

    텐센트 클라우드 측은 김 지사와 기업인들에게 AIA(AI IN ALL)전략을 포함한 사업현황 등을 상세하게 브리핑 했다.

    동행한 기업인들과 텐센트 클라우드 측 간에 기술정보 등에 관한 문답이 즉석에서 이뤄져 당초 예정했던 시간을 훌쩍 넘기기도 했다.

    김 지사의 방문을 계기로 동행한 일부 기업인들은 텐센트 클라우드 측과 개별 미팅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텐센트 관계자는 "한국 광역지자체장이 AI 기업인들과 텐센트를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한국에도 텐센트 지사가 많은데 김 지사 방문을 계기로 경기도와 협업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새로 출범한 국민주권 정부는 AI 3대강국을 목표로 설정했다"면서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AI국’을 만든 경기도가 AI강국으로 가는 길에 가장 앞장서서 견인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