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종식 의원, 주거 용지 비율 13.3%…청라·영종·송도 보다 높아
-
- ▲ 인천시 강화도 남단 경제자유구역 예정지 위치도 ⓒ인천시 제공
인천 강화도 남단 일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사업이 당초 취지와는 달리 대규모 아파트 개발로 전락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27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개발 계획상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6.32㎢)의 주거 용지 비율은 13.3%(0.84㎢)다.이는 기존 경제자유구역의 주거 용지 비율 청라 13.1%, 영종 12%, 송도 8.1%보다 높은 수준이다.강화도 남단의 계획 인구는 2만 9679명으로 주거 용지 대비 인구밀도는 1㎢당 약 3만 5000명이다.이는 영종의 인구 밀도 2만 9000명보다도 높아 산업 중심 개발이라는 경제자유구역의 취지와 달리 고밀도 아파트 단지 개발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허 의원은 주장했다.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의 산업 용지 면적은 155만 9515㎡로 전체 면적의 24.6%를 차지한다. 그러나 영종 미개발지 검단2일반산단, 계양테크노밸리, 부천 대장신도시 등 인근 산업 용지들과 기업 유치를 놓고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됐다.이같은 우려 때문에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 자문회의에서도 지난해 10월과 지난 4월 기업 유치의 불확실성을 지적하는 의견이 나왔다.이에 대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셀트리온·롯데바이오로직스 등 42곳, 중국 바이두 외 52곳, 가천길재단 외 3곳 등 97곳이 입주 의사를 밝혔고 지속해 투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허 의원실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투자의향서(LOI)나 양해각서(MOU)가 구속력 있는 협약이나 토지 매매계약으로 이어진 전례가 많지 않다"며 "인천경제청이 제시한 대기업 LOI 역시 실제 기업 유치로 연결될지는 미지수"라고 꼬집었다.이어 "인천경제청은 송도 11공구 땅 매각 수입 등을 재원으로 1조 3000억원 안팎을 우선 투입해 강화 남단 부지를 매입할 예정"이라며 "막대한 재정 투입 전에 실질적인 투자 수요 확보와 사업 계획 전면 재검토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