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발전단지 위치도 ⓒ 인천시 제공
인천 앞바다 섬 일대에 추진 중인 공공 주도 해상풍력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인천시는 14일 하병필 행정부시장 주재로 해상풍력 민관협의회를 열고 정부·민간·공익위원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했다.
인천시는 집적화단지 평가항목 중 하나인 안정적인 전력 공급 계획과 환경성 확보 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지난 5월 관련 용역에 착수했다.
또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인천시 공공 주도 해상풍력 과제관리 자문단'을 구성해 가동에 들어갔다.
인천시는 7월 말부터 공공 주도 해상풍력 예정지 인근 덕적도·자월도와 외곽 섬지역 주민들을 직접 찾아가 사업정보를 제공하고 의견을 듣는 숙의경청회를 열 계획이다.
숙의경청회는 일회적이고 일방적인 설명회 방식에서 벗어나 주민·어업인들과 충분한 정보 공유를 통해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소통 절차다.
인천시는 의견 수렴과 자문 절차를 거쳐 집적화단지 사업계획서를 완성한 뒤 주민 공람, 의견 청취, 민관 협의회 협의 등을 거쳐 오는 9월 말까지 산업통상자원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집적화단지로 지정되면 인천시가 추진 중인 2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사업은 연간 400억 원씩 20년간 총 8000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인천시는 주민과 어업인이 참여한 민관 협의회를 통해 지난해 7월 옹진군 덕적도 서쪽 해역과 인근 배타적경제수역(EEZ) 3곳을 적합 입지로 정하고 산업부의 지원사업 대상에 선정됐다.
공공주도 해상풍력사업에는 국비 21억7500만 원, 시비 8억7000만 원, 한국중부발전 48억 원, 인천도시공사 2억 원을 합쳐 모두 80억4500만 원이 소요된다.
하 부시장은 "올해 3월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공포됨에 따라 추진 중인 집적화단지 지정 준비 과정에서 지역주민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하게 소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