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형평성 이유로 부정적
  • ▲ 인천상륙작전 참전 8개국 국기를 앞세운 군악대가 지난해 9월 인천시 중구에서 전승 기념 시가행진을 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 인천상륙작전 참전 8개국 국기를 앞세운 군악대가 지난해 9월 인천시 중구에서 전승 기념 시가행진을 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한국전쟁 승전의 대전환점이 된 인천상륙작전일(9월 15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는 방안이 무산됐다. 

    인천시는 인천상륙작전일을 지난달 공포된 '인천시 각종 기념일 조례'에 따라 시 기념일 중 하나로 지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6월 국방부, 국가보훈부에 인천상륙작전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해 달라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인천상륙작전은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킨 역사적 전환점이자 국제 연대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국가기념일로 지정할 충분한 의미와 공익성이 있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또 인천상륙작전은 국군과 연합군이 함께했다는 점에서 세계인이 함께하는 자유와 평화 수호의 날로 기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1950년 9월 15일 작전명 '크로마이트 작전'으로 단행된 인천상륙작전은 한·미·영 등 8개국 261척의 함정이 투입돼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 상륙작전으로 기록됐다.

    당시 연합군은 북한군의 측면을 공격해 90일 만에 서울을 수복하는 등 한국전쟁의 전세를 일거에 뒤엎었다.

    그러나 정부 관계부처는 국가기념일 지정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시에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상륙작전, 낙동강전투, 춘천지구전투 등 '한국전쟁 3대 전투' 가운데 특정 전투만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면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시는 이에 따라 단기간에 국가기념일 지정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 우선 시 기념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지난달 공포·시행된 인천시 기념일 조례는 인천상륙작전기념일을 비롯해 인천국제공항 개항일(3월 29일), 인천 5·3민주항쟁 기념일(5월 3일),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날(8월 11일) 등 13개 시 기념일을 지정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상륙작전은 한국전쟁의 전세를 반전시킨 유일무이한 작전으로, 다른 전투와 구별되는 전략적 의미가 있다"며 "국가기념일 지정을 중장기 과제로 삼아 정부와 지속해서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