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대왕 효심과 혁신정신 재현… 다채로운 행렬·퍼포먼스 눈길
  • ▲ 행사장으로 진입하고 있는 정조대왕과 해경궁 홍씨ⓒ화성시 제공
    ▲ 행사장으로 진입하고 있는 정조대왕과 해경궁 홍씨ⓒ화성시 제공
    지난 27일부터 28일까지 정조효공원과 융릉 일원에서 열린 ‘2025 정조대왕효문화제·정조대왕능행차’가 시민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첫날인 27일에는 1791년 사도세자의 묘를 융릉으로 이전하는 과정을 재현한 ‘현륭원 천원’과 ‘하현궁·죽산마 소지 퍼포먼스’가 진행됐으며, 화려한 드론 라이트 쇼가 시민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어진 퍼레이드와 공연에서는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져 역사적 장면을 생생하게 체험했다.

    둘째 날인 28일에는 ‘정조대왕 능행차’가 △전통구간(황계동~현충공원) △미래구간(현충공원~융릉)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계획됐던 현대구간(동탄센트럴파크~현충공원)은 우천으로 인해 축소됐다. 

    행렬에는 정조대왕 대형 인형을 비롯해 효 퍼레이드단, 바람의 사신단, 안녕초등학교 어린이 어가행렬단, 외국인 행렬단 등이 참여하며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다채로운 장면을 연출했다. 수상 행렬단으로는 △대상-동탄1동 효행단 △최우수상-천안 점핑 엔젤스 △우수상-동탄8동 무림합기도가 선정됐다.

    행렬단이 정조효공원에 도착한 이후 진행된 전통 의식 ‘격쟁’ 장면은 4개 구청 신설, 출산율 제고, 문화시설 확충 등 현대적 의미로 재현돼 눈길을 끌었다. 

    풍물패의 북소리와 함께 백성들이 무대에 등장해 정조대왕에게 민원을 호소하자, 화성유수 역을 맡은 정명근 화성시장이 백성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정조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가 잠든 융릉을 방문한 모습을 재현한 ‘산릉제례어가행렬’은 화성에서만 만날 수 있는 능행차의 백미로 꼽히며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최종 목적지인 현륭원(융릉) 제향은 정조효공원에서 실시간 중계되는 한편, 극 형식 공연으로도 재현돼 역사적 의미를 생생하게 전달했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정조대왕은 격쟁제도를 통해 백성과 가까이 소통한 민본군주였다”며 “정조대왕의 효심과 애민, 혁신정신을 본받아 전통의 가치를 지키고, 정조대왕효문화제와 능행차를 세계적인 문화 브랜드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